•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삼 시의 이중성과 순수주의―초기시(1953∼1969)를 중심으로 (Duality and Purism in Kim, Jong―Sam’s Poetry―Focused on his earlier poems(1953∼1969))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06
31P 미리보기
김종삼 시의 이중성과 순수주의―초기시(1953∼1969)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40호 / 117 ~ 147페이지
    · 저자명 : 오연경

    초록

    전후 세대의 모더니티 탐색은 전통의 부정과 동시대성의 긍정으로부터 에너지를 얻고 있었다. 그것은 ‘예술의 탈인간화라 할 수 있는 형식주의적 모색’과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에 근거한 존재론적 모색’을 동반한 것이었다. 김종삼은 그러한 두 방향의 모색을 동시적으로 추구해나간 시인이라 할 수 있다. 김종삼 시 세계에서 그러한 이중성을 가능하게 만든 것은 ‘순수주의’라는 동일한 뿌리였다.
    언어적 순수주의는 사물성에 대한 천착과 언어의 무의미에 대한 탐구로 나아갔다. 김종삼의 언어주의는 관념이나 의미를 생략하고 순수 이미지만을 병치시키고자 하는 시적 방법론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의 묘사 기법은 언어의 ‘지시’ 기능보다는 ‘암시’ 기능을 통해 사물 자체의 배음을 증폭시키고자 하는, 사물성에 대한 천착에 근거하고 있다. 한편 탈현실적 순수주의는 원체험적 사건성에 대한 집착과 실존적 본질에 대한 탐구로 나아갔다. 김종삼의 탈현실주의는 개인적⋅민족적 체험의 현장성을 생략하고 순수 사건성만을 진술함으로써 보편적 인간 실존에 다가가고자 하는 것이었다. 전쟁과 낙원이라는 원체험을 드러내기 위한 시적 전략은 진술 기법으로 나타나는데, 그 진술의 태도에는 직접적인 현실의 맥락으로부터 벗어나 인간의 보편적 실존을 순수한 사건성으로 드러내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김종삼 시의 이중성은 60년대 모더니티로의 이행에 있어 양 극단적 지점을 내포한 독특한 위치를 형성하고 있다. 그의 언어적 순수주의를 극단화하면 사물성에 대한 천착이라는 지점에서 김춘수의 무의미시와 맞닿게 되고, 탈현실적 순수주의를 극단화하면 사건성(일상성)에 대한 천착이라는 지점에서 김수영의 반(反)속물주의와 맞닿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김종삼 시의 이중성에 내재된 순수주의는 60년대 모더니티의 두 극단 사이에서 독특한 중간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김종삼은 휴머니즘과 탈인간화라는 모더니티의 내용적⋅형식적 충동을 내면화화여 순수주의의 두 가지 시적 방법론을 모색함으로써, 김춘수와 김수영으로 이원화된 세계의 뿌리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김종삼의 순수주의가 무기력한 자기폐쇄적 동화의 세계로 침잠했다는 한계는 인정하지 않을 수 없지만, 한국적 모더니티의 탐구에 있어 김종삼의 이중적 순수주의가 지닌 시문학사적 의의는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A exploration of modernity in postwar generation was encouraged by the denial of a tradition and the acceptance of contemporaneity. It led to a formalism motive to be founded on ‘the dehumanization of art’ and an ontological motive to be founded on ‘the humanism of existentialism’. It is said that Kim, Jong―Sam was a poet who has kept two motives simultaneously. What makes two motives compatible in Jong―Sam’s poetry is a ‘Purism’, the one origin.
    A linguistic purism leads to an exploration of a thing―ness, and the meaninglessness of language. To sum up, the linguistic purism in Jong―Sam is the poetic methodology which leaves out an idea or a meaning in poems and places images themselves in juxtaposition. On the other hand, a derealistic purism leads to an exploration of an event―ness of a fundamental experience(Korea War and loss of home), and an existential essence. Jong―Sam’s derealism is an attempt to get close to a general humanistic existence by describing an event―ness itself, as leaving out an actuality of a personal, national experience. Thus a dereality of Jong―Sam’s poetry is not a disregard for and an escape from reality, but a methodological attempt to bring reality into poems, not falling into the philistinism or solipsism.
    A duality of Jong―Sam’s poetry achieves a distinctive position that involves two extremes, pure literature and engaged literature. On the one hand to extend his linguistic purism encounters Kim, Choun―Soo’s ‘a meaningless poetry’ in the exploration of thing―ness, on the other hand to extend his derealistic purism encounters Kim, Soo―Young’s ‘an anti―philistinism’ in the exploration of event―ness(dailiness). Therefore the purism involved in a duality of Jong―Sam’s poetry keeps a unique position between two extremes of 1960’s modernity. Jong―Sam discloses an origin of the poetic world which had gone to extremes into Kim, Choun―Soo and Kim, Soo―Young, by exploring two poetic methodologies of purism and internalizing form―content motive of modernity as dehumanization and hum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