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國朝詩刪』의 평어 연구-三唐詩人의 한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itiques in Gukjosisan-On the Poems by Three Tang Poet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10
36P 미리보기
『國朝詩刪』의 평어 연구-三唐詩人의 한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24호 / 87 ~ 122페이지
    · 저자명 : 강석중

    초록

    조선 최고의 비평가로 꼽히는 許筠(1569~1618)이 1607년 조선 초에서 허균 자신의 시대까지 각체의 시를 선정하여 모은 시선집이 『國朝詩刪』이다. 허균이 逆謀罪에 걸려 사형을 당했기 때문에 『국조시산』은 필사본의 형태로 전해지다가 朴泰淳(1653~1704)이 편집하여 1695년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 널리 알려졌다. 『국조시산』은 선시의 공정성으로도 이름을 알렸지만, 여타의 시선집과는 달리 선정한 시에 적절한 批와 評을 붙여 작품을 이해하고 선시의 이유를 알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목판본 『국조시산』과는 편찬 순서와 일부 내용이 다른 필사본에 목판본의 비와 평이 빠져 있거나 목판본에 빠져 있는 평어들이 수록되어 있어 허균의 선정한 시들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보였는지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허균은 唐詩를 높이 평가하고 宋詩를 비판하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지적되어 왔거니와, 조선 중기 唐風을 널리 알린 三唐詩人의 공적을 크게 인정한 바 있다. 허균은 『국조시산』을 편찬하면서 삼당시인의 시 92제 103수를 선정하여 실었는데, 이 가운데 95수의 작품에 평어가 달려 있다. 비는 대체로 작품의 미감이나 배경 등을 전체적으로 말하고 있고, 평은 특정 구절의 미감을 주로 논하고 있다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 비와 평의 차이를 확연하게 결정하기 어렵다는 점과 필사본에 비와 평의 구분이 없는 것으로 보아 비와 평의 구별을 허균이 직접 한 것인지 박태순이 목판으로 편집하는 과정에서 한 것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이들 평어를 분류해 보면 작품의 미감을 풍격용어로 지적한 것, 특정 詩風과의 연관성을 드러낸 것, 전대 典籍의 말을 가져와 작품에 대한 감상을 표한 것, 시의 배경이나 의미, 세간의 평가를 적은 것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는데, 삼당시인의 시에서는 앞의 세 가지 평어를 확인할 수 있다.
    작품의 미감을 풍격용어로 지적한 평어들에서는 각 시인의 개성적인 미감을 드러내는 단어들이 제시되었다. 특정 시풍과의 연관성을 드러낸 평어들에서는 주로 唐詩와의 관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전체적인 느낌을 제시한 것과 특정 시인들의 시풍에 관련이 있음을 드러내는 것들로 이루어졌다. 전대 典籍의 말을 가져와 작품에 대한 감상을 표한 평어들은 『世說新語』와 이를 증보한 책인 『世說新語補』에서 가져온 것이 대부분으로 원래 출전에서 쓰인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시에 대한 평가를 비유적으로 하고 있다.

    영어초록

    Gukjosisan is an anthology compiled in 1607 by Heo Gyun(1569-1618) who is regarded as one of the best literature critics in the Joseon Dynasty with the selected poems in various styles from early Joseon to his time. Since Heo Gyun was executed in relation to a plot of treason, Gukjosisan had been passed on in the hand-copied manner until 1695 when it was organized and published through the woodblock printing by Pak Tae-sun(1653-1704). Gukjosisan is not only famous for its fairness in the selection of poems but also helpful for the readers to understand by adding pertinent critique(bi and pyeong) and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for each poem. Hand-copied Gukjosisan includes additional critiques that are missing in the woodblock anthology so that we can get a glimpse of Heo Gyun's attitude toward selected poems.
    A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Heo Gyun highly praised Tang poems and was critical about Song poems, and was recognized as notifying the contribution of Three Tang Poets who made Tang style popular in the mid Joseon. When Heo Gyun compiled Gukjosisan, he included 103 poems under 95 titles of Three Tang Poets, 95 among which he added critiques. While his criticism(bi) mainly dealt with aesthetics and background of the artworks as whole, his criticism(pyeong) mainly discussed aesthetics of certain lines. However, as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fferentiate bi and pyeong, and there is no distinction of them in the hand-copied anthology, it is not certain whether Heo Gyun himself made the distinction or Pak Tae-sun did in the process of woodblock printing compilation. Anyhow those critiques can be classified into; aesthetics of the works with style terminology; relations to certain styles; appreciation of the works with the phrases from previous books; backgrounds or meanings of the poems and the public evaluation of them, and the first three critiques are clearly found in the poems of Three Tang Poets.
    In the aesthetics of the works with style terminology, phrases showing each poet's unique sense of aesthetics are suggested. The relations to certain styles, mainly to Tang poems, are composed of impressions on the works as whole and certain poets' styles. Finally in the appreciation of the works with the phrases from previous books; words of criticism are mostly borrowed from Seseolsineo and its revised edition Seseolsineobo, and used for the metaphorical evaluation of the poems without much escaping the original mean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