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장환 시에 나타난 노마디즘 특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madism Patterns in O Jang-hwan' Poet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11
30P 미리보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노마디즘 특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3호 / 253 ~ 282페이지
    · 저자명 : 양소영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오장환 시에 나타난 방랑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그의 시에 나타난 방랑은 보수적 공동체에서 탈주하고 싶은 욕망이며 목적 없는 여행이다. 하지만 이것은 자기 폐쇄적인 상황이 아니라, 시인에게 소수자 되기를 이끌며 정체성을 발견하게 한다. 여기에는 현실 사회에 대한 저항 의지가 담겨 있다.
    2장에서는 오장환이 전통과 낡은 유습인, 봉건적 질서에 사로잡힌 현실을 벗어나고 싶어 했다. 「정문」이란 시에서 ‘정문’은 조선 여성의 삶을 규범화시키는 상징이었다. 억압의 상징에서 정문은 국가 폭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성의 정체성은 정문을 소중히 여기는 조선에선 없었다. 시인은 주인공 소저의 삶과 죽음을 통해 유교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한다. 결국 그에게 현실 사회는 방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3장에서 방랑은 더욱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오장환 시에 자주 나타나는 ‘항구’의 이미지는 어둡고 음습한 가운데 등대의 불은 혼류의 불이고 돗폭은 박쥐의 나래로 묘사되었다.(「어포」) 이런 점은 항구가 방향과 목표가 상실된 공간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항구는 어두운 이미지와 함께 흰색과 청색의 신호, 바람에 날리는 흰 깃발(「해항도」)처럼 자유롭게 옆길로 새는 듯이 규칙을 허물어버리며 뜻밖의 사유를 만들어 내는 리좀적 공간이 된다. 이런 공간을 중심으로 그는 소수자 되기를 통해 소수자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꿈을 꾸게 된다.
    4장에서 시적 주체는 방랑하는 길에 이브, 기생, 매음녀 등 현실에서 소외받으며 살아가는 슬픈 존재들을 마주하게 된다. 그녀들은 생계를 위해 기녀의 삶을 살 수밖에 없었고, 퇴폐적 향연 속에서 그녀들의 삶은 더욱 어둡고 슬펐다. 하지만 방랑은 주체로 하여금 끊임없이 외부의 존재들에 관심을 두게 하며 새로운 사유를 만들어 낸다. 그러므로 시인은 퇴폐적 향연 속에 어둡고 불안하게 존재하는 그녀들을 통해 단지 좌절된 삶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비판하는 강력한 힘을 만들며 현실을 자유롭게 보려는 비판의 정신을 만들어 낸다. 다시 말하면, 시인은 기녀의 슬픔을 자신의 본질로 받아들이며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열어 보인다. 방랑은 시인에게 새로운 환경을 이끌어나가게 한다. 시인은 방랑을 통해 삶에 집착하지 않는 자유로운 시간을 경험하며 새로운 정체성을 확보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wandering in O Jang-hwan. The wanderings in his poems are a desire to escape with the conservatism of reality and an aimless journey. The wanderer leads to a poet's minority, which in turn leads him to discover his identity as a true minority. It contains a will to resist the real world.
    In Chapter 2, O Jang-hwan wanted to get out of the reality surrounded by tradition and old custom, feudal order. In the poem “Jeongmun,” the “Jeongmun” (the gate to be erected in front of the door of the house or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to honor the faithful, the faithful, and the young girls) was a symbolic mechanism that suppressed the lives of Joseon women. In the symbol of oppression, the main gate can be interpreted as national violence. The identity of women has not been found in Joseon society, which values the main gate. The poet criticizes and satirizes the Confucian society through the life and death of the main character, Sozer. In the end, he escapes from the real world. For him, the wanderer is to get out of the fixed world and to experience plurality and reach a state of freedom while connecting with batters. At the same time, he listens to the voice of the batter through the wanderings and forms his identity as a minority.
    In Chapter 3, the vagabond was creating even more new possibilities. The image of the “port” often seen in O Jang-hwan was dark and shady, while the lighthouse fire was a mixture of fire and the mats were described as bat rafters. This may appear to be a lost space. However, the harbor is a rhinoceros that creates an unexpected cause by tearing down the white and blue signals along the dark side, and the symbol of the white flag flying in the wind (“sea island”) freely. At the center of such a space, he becomes a minority, moving away from the majority and further forming his identity as a minority.
    In Chapter 4, the poetical subject faces sad beings who are left out of reality, such as Eve, parasites and hawk girls, on their way around. They were forced to live the life of a giraffe for a living, and in the decadent feast her life was darker and sadder. However, the wanderer is constantly interested in outside beings and the reason comes through external events. Through the wanderings, you learn real life by hanging out with people who are worse than me. Thus, through her dark, uneasily present in the decadent rebellion, the poet creates a strong power to criticize reality and create a spirit of criticism to see reality freely, not just to show her frustrated life. In other words, the poet takes the sorrow of the giraffe as his essence a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a new life. The vagabonds, therefore, restore the poet to the great world and lead the new environment. Through wandering, the poet experiences a free time that is not obsessed with life and forms a new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