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詩創作法』에 나타난 시문학의 윤리성과 시의 전범 - 조지훈, 서정주의 초기 시론을 중심으로 - (The Ethics of Poetic Literature and the Exemplary Model of Poetry of The Methods of Composing Poems - Focusing on the Early Poetics of Cho Ji-hoon and Seo Jung-ju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4
31P 미리보기
『詩創作法』에 나타난 시문학의 윤리성과 시의 전범 - 조지훈, 서정주의 초기 시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0호 / 395 ~ 425페이지
    · 저자명 : 박성준

    초록

    『詩創作法』(선문사, 1949)은 소위 문협 정통파로 분류되는 3인의 대표 시인 조지훈, 서정주, 박목월의 공저로 해방공간 우파 진영에서의 순수성과 민족성, 전통성 등의 가치를 시론과 작법으로 심화시킨 개론서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그동안 『詩創作法』이 연구주제 차원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조지훈의 『詩의 原理』(1953)와 서정주의 『詩文學原論』(1969)이 그들 시론의 완성형이라는 점에서 그들의 초기 시론인 『詩創作法』은 배제되었고, 같이 수록된 박목월의 논고 또한 25인의 시인을 대상으로 한 간단한 ‘인상비평’이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조지훈과 서정주는『詩創作法』을 토대로 자신들의 시론을 남한 문단에서 심화 · 확장해나갔다. 그리고 이 책은 재판을 거듭하며 시문학 입문서의 정전으로 자리 잡기도 했다.
    본 논문은 『詩創作法』에서 수록된 조지훈과 서정주의 초기 시론을 고찰하여, 해방공간에서부터 유통된 순수지향성과 전통론의 실체를 해명한다. 여기서 조지훈은 내용과 형식을 구획하기보다는 자연과의 “統一體精神”을 강조하였고, 예술의 순수성을 기반한 ‘다른 윤리’를 제시했다. 서정주 역시 시적 경향의 근본 척도를 좌우나 모던/순수가 아니라 개별 시인의 개성론과 연관하여 해명했으며, 당장에 다다를 수 없는 ‘예지 표현’의 개념을 상정하여 “民族感情의 典範”을 마련하려고도 했다. 아울러 앞선 시론들을 고찰하면서 박목월의 『詩鑑賞論』은 보충적으로 점검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ethods of Composing Poems (Seonmunsa, 1949) was coauthored by the three representative poets Cho Ji-hoon, Seo Jung-ju, and Park Mok-wol, classified as the so-called “orthodox literary faction.” The book has been understood as an introduction of intensified values such as purity, ethnicity, and traditionality in the right-wing camp of the liberation space into poetics and methods of composing poems. However, it is also a fact that The Methods of Composing Poems has been neglected as a research subject.
    Because Cho Ji-hoon’s The Principles of Poetry (1953) and Seo Jung-ju’s The Theories of Poetry Literature (1969) were the completion of their poetics, their early poetics of The Methods of Composing Poems has been discounted. Park Mok-wol’s discussion in the book has also failed to receive much attention, as it was a simple “impressionist criticism” of twenty-five poets. Nevertheless, Cho Ji-hoon and Seo Jung-ju paradoxically complemented and intensified their poetics in South Korean literary circles with The Methods of Composing Poems. Moreover, this book has undergone continuous testing to become a canonical primer for poetic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poetics of Cho Ji-hoon and Seo Jung-ju included in The Methods of Composing Poems and elucidates the true nature of the purity orientation and traditionalism that was circulated from the liberation space. In this book, Cho Ji-hoon emphasized “the spirit of unifying” with nature rather than partitioning content and form, and proposed “a different ethics” based on the purity of art. Seo Jung-ju also clarified the fundamental criterion of poetic orientation in relation to the individuality of each poet, rather than in terms of left/right or modern/pure. He presented the concept of “foreseeing expression” that cannot yet be attained and tried to establish “an exemplary model of ethnic sentiments” as well. In addition, Park Mok-wol"s Theories of Poetry Appreciation can be examined in light of the preceding po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