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소월의 후기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존재 방식 (The existing method of the poetic subject shown in Kim So-wol’s Later Poetr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7.08
37P 미리보기
김소월의 후기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존재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51호 / 153 ~ 189페이지
    · 저자명 : 박군석

    초록

    1920년대에 일제가 문화정책을 실시하면서, 당대의 지식인들은 일제가 기획한 사회 체계 내의 구성원이 될 수밖에 없었고, 조선에서의 교육, 언론, 집회, 종교 활동 등은 모두 총독부 산하 기관에 소속되거나 허가를 받고 그들의 검열과 지침에 따라 실행되는 체계로 흡수되어 갔다. 젊은 문인들은 도식적인 계몽주의와 강요된 일제의 군국주의로부터 도피하여 서구의 낭만주의와 데카당스 문학에 도취되기도 했다. 그 결과 우리 민족이 축척해온 생활 세계의 전통은 식민지화 정책이 실행되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지식인들의 의식 지평에서 서서히 망각되어 갔다. 이러한 시기에 김소월은 자신에게 이미 주어져 있는 생활 세계에서 이어온 민족의 전통을 발견하고 일제가 수행하는 일제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희미해져가는 공동체의 본래성을 시작품에 재현한다.
    생활 세계는 일반화된 지식이나 담론체계가 구축되기 이전에 우리가 늘 이웃과 사물을 접하고 반응하면서 살아가는 체험이 이어지는 일상이다. 김소월의 시적 주체는 생활 세계에서 체화된 전통을 발견하고 그것을 삶의 준거로 삼는다. 양심은 자기 내면에 내재된 각자의 영혼으로부터 비롯된다. 영혼은 실제 삶의 준거로 작용하며 내면의 근원자리에 위치한다. 김소월에게 영혼은 당시 상징주의를 추구하는 젊은 시인들처럼 현실성이 결여된 관념적 상징이 아니라, 생활 세계의 윤리적 실천 가운데 체험할 수 있는 존재이다. 시 「故鄕」의 시적 주체는 일제가 만들어가는 근대 사회 가운데 부평초처럼 확고한 삶의 근거를 갖지 못하고 헤매는 ‘그대’에게 본래 자기가 거주하는 곳, “마음의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조언한다. 마음의 고향에 사는 ‘나의 넋’은 당대 젊은 시인들이 시적 지향으로 삼고 있던 “영혼”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양심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내면의 선험적 지평을 발견하면서 더욱 확고해진 김소월의 시적 주체는 시대적 모순으로 민족 공동체가 겪고 있는 고난의 현실을 직시하고 있다. 시 「나무리벌 노래」는 일제와 대지주의 수탈에 삶의 터전을 잃고 만주로 이주해 가면서 겪는 애환을 그리고 있으며, 시 「옷과 밥과 자유」의 시적 주체는 외부의 타자에 의존하지 말고 ‘공중에 떠다니는 저기 저 새들’처럼 본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명의 힘을 믿고 살아가기를 바라고 있다. 시 「인종(忍從)」에서 시인은 당시 젊은이들이 향유하고 있는 문화 현상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면서 각자에게 주어진 삶의 역사성에서 자기-주체의 토대를 만들어 가라고 그들에게 조언하고 있다. 시 「봄바람」에서 시인은 제국주의에 의해 전파되는 근대문화가 전 지구적으로 전근대적 규범에 의해 억압되었던 욕망을 자극하면서, 각각의 토착민이 주어진 환경에 맞추어 살아 왔던 기존 삶의 기반을 뒤흔들고 있는 현실을 비판한다.
    김소월의 후기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는 생활 세계에서 현실에 대응하는 자기 정립의 가능성으로 내면의 ‘영혼’을 상정하고 있으며, 각자에게 육화되어 있는 삶의 역사성에서 공동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김소월은 그러한 현실의 모순을 직시하면서 공동체의 전통에서 비롯되는 양심이 자신에게 부여한 소명을 성실히 실천하였고, 합리적 사유와 자유 의지로 자기 주체를 바로 세워가는 진정한 근대 시인이 되어갔다.

    영어초록

    1920's the intellectuals in Korea was absorbed into the social system formed by imperial Japan, since Governor-General of Korea Enforced the permission and censorship about the education, press, assembly, religious activities, political activities and so on. As a result, the tradition of the living world that our nation has accumulated has gradually been broken in the consciousness of the intellectuals as the time of colonization policy has passed. In this period, Kim So-wol finds the tradition of the nation that has been given to his life-world already, and recreates the originality of the community which is forgotten in the colonization process of the life culture perform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conscience derives from the soul of each person inherent in himself. The soul acts as a criterion of real life and is located in the inner origin. For Kim So-wol, the soul is not an ideological symbol lacking realism like a young poet who pursues symbolism at the time, but it is an existence that can be experienced in the ethical practice of the living world.
    The poetic subject of Kim So-wol, who has become more firm by discovering the inner Transcendental horizon in which the voice of conscience is heard, faces the reality of the suffering which the ethnic community is experiencing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times. The poem 「Namuri-field Song」 describes the affliction of the people who have lost their place of life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immigrated to Manchuria. The poetic subject of poem 「clothes and rice and freedom」" 'I' do not hope that The people get caught up in External other, but 'I' hope they live by believing in the power of life 'I' originally have, like those birds floating in the air. In poem 「Spring Breeze」, the poet criticized the reality that the indigenous culture was preached by imperialism that stimulated the desire that was globally suppressed by pre-modern norms.
    The poetic subject in the later poetry of Kim So-wol suggests the inner 'soul' as the possibility of self - establishment corresponding to the reality in the life world and seeks new possibility of the community in the historicity of life incarnated to each person. Kim Soo-wol, in the face of such contradictions of reality, has faithfully practiced the vocation given to him by the conscience based on the tradition of community, and became a true modern poet who establishes now and here his subject by rational thought and free wi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