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율적 시 읽기를 통한 시 정신의 함양 - 대학교양교육으로서의 시 읽기를 중심으로 - (Cultivation of the soul of poetry through autonomous reading poetry - Centering reading poetry as a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06
27P 미리보기
자율적 시 읽기를 통한 시 정신의 함양 - 대학교양교육으로서의 시 읽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50호 / 255 ~ 281페이지
    · 저자명 : 이명희

    초록

    본 연구의 본질은 교양교육뿐만이 아니라, 학문을 공부하는데 있어, 교육자부터 교육의 목적을 상기하고 실천하며, 기존의 교수법에 대한 성찰, 목적에 부합하는 교수자의 역할을 재고해 보는데 있다.
    1장에서 자율적 시 읽기가 불가능한 한국의 교육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 하였다. 문제풀이를 통해 분석되는 시의 편린들은 주제, 형식, 시적 장치를 통해 학습자에게 균일하게 전달된다.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시 읽기가 필요하며, 자율적 시 작품의 선택과 시 읽기는 학습으로서의 시 읽기에서 체득하지 못했던 시적 언어를 통해 시 정신에 도달하게 된다.
    2장에서는 자율적 시 읽기의 필요성과 시 교육의 의의 살펴보았다. 시는 다른 고전이나 문학작품과 비교해 작품을 생활 속에서 단시간 내에 기승전결을 읽을 수 있으면서도, 개인에게 주는 지적, 감성적, 철학적 자극이 강하기 때문이다. 시는 시인의 의도, 혹은 의도와 상관없이 시는 짧고 해석의 자율성이 높은 만큼 개인 혹은 사회에 객관적, 이성적 합의보다는 주관적, 감성적 합의에 기댄 왜곡된 가치관이나 세계관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3장에서는 ‘교양교육으로서의 시정신의 의의’를 통해 시는 타자에 대한 질문과 답을 찾는 치열한 시 정신을 구현하는 과정이며, 독자는 시를 읽으며 시인의 질문에 대한 답을 함께 찾거나, 그들의 질문을 재고(再考)하게 한다. 다시 말해, 전공자의 시각이 아닌 교양인의 철학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세계에 대한 관심은 다양한 삶을 다르게 이야기하고 있는 시를 통해 배우게 된다. 교양과정에서는 이러한 시 정신을 읽어내려는 노력은 교수자와의 협력에 의해 가능함을 4장에서 ‘자율적 시 읽기와 시 정신 함양의 실제 사례’를 예로 들어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essenc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and to reconsider a role of the teacher that accords with a purpose of education, while the teacher at the first recalls the aims of education and practices not only for a liberal education but also for the learning.
    In the 1st chapter,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condition of education in Korea that is impossible to have autonomous reading poetry. The portions of poetry that are analyzed by problem solution can be delivered to a learner by a subject, a form and a poetic device. Autonomous and creative reading poetry is necessary for a lib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and to select autonomically a poem and to read can be reached to the soul of poetry by a poetic language that couldn’t learn in reading poetry as a learner.
    In the 2nd chapter, it examined the needs for autonomous reading poetry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of poetry. While poetry can be red four steps of a work in composition within a brief time in life comparing with other classics and a literary work, it has a strong intellectual, emotional and philosophical stimulation for an individual. Due to what poetry are short and have higher autonomic of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poet’s design, or regardless of his design, it can make distorted values or a contorted view of the world that lean on the subjective and emotional agreement rather than the rational agreement in an individual or society.
    In the 3rd chapter, with ‘the meaning of the soul of poetry as a liberal education’, it showed that as poetry are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the soul of poetry which finds a question for others and an answer, it makes a reader find an answer for a question of a poet while reading a poem, or reconsider their questions.
    In other words, one may learn an interest in the world that can be viewed on side of philosophy by a cultured person, not a specialist, through poetry that talks differently various life. In the 4th chapter, it has examined that ,during the liberal art course, such effort that tries to read the soul of poetry is possible to be built by cooperating with a teacher, as presenting an example of ‘a real case for autonomous reading poetry and cultivation of the soul of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