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실’을 ‘시의 사실’로 전이하는 시 쓰기 방법 -이상화의 시 쓰기 방법을 중심으로 (How to Write Poetry that Transfers ‘fact’ to ‘fact of poetry’ :Focusing on Lee Sang-hwa’s poetry writing meth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10
38P 미리보기
‘사실’을 ‘시의 사실’로 전이하는 시 쓰기 방법 -이상화의 시 쓰기 방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3권 / 295 ~ 332페이지
    · 저자명 : 장동석

    초록

    이상화는 ‘사실의 시’보다도 ‘시의 사실’을 강조한다. ‘시의 사실’은 한국현대문학이 생성ㆍ파생하는 시작의 지점에서 시 쓰는 방법을 이론과 작품 전체에 걸쳐 일관되면서도 가장 구체적인 수준으로 제시한 것이었다. ‘문학과 현실은 어떻게 관계 맺어야 하는가’를 두고 벌어지던 논쟁의 와중에서, ‘시의 사실’은 시 아닌 것과 구분되는 시만의 방식으로 ‘사실’을 재구성하는 시 쓰기 방식을 체계화한다. 이는 시의 자율성을 견지하면서도 현실 문제를 작품 내로 견인하는 시적 실행이었다.
    이상화는 시 쓰기의 가치를 ‘아름다운 생활’을 만드는 것, 즉 생활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미적으로 재구성하는 시적 실행에서 찾고 이를 시(인)의 영광으로 삼는다. 이상화는 ‘시인은 현실 한복판에 있어야 하데, 그것을 발효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이때의 발효는 곧 현실을 재구성하고 재창조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러한 ‘사실의 시’가 가능하기 위해선 우선 ‘출가’의 자의식을 가져야 했다. 현재의 생활(사실)에 안주하는 것은 시인에게는 ‘우악(愚惡)’일 뿐이다. 시(인)의 존재 근거는 현재를 관통해 현재 이상으로 나아가는 ‘출가’의 도약을 통해 마련된다. 그런데 출가한 존재는 필수적으로 비극의 관문을 지나가야 한다. 이때 비극이란 ‘나’의 내면을 구성하는 ‘답답워라/모르노라’의 정서로 현현된다. ‘나’는 현재로부터 출가했으나 목적지가 어디에 있는지도 어떻게 갈 수 있는지도 모른 채 방황을 지속한다. 출가한 ‘나’의 ‘방황’은 이상화의 시를 특별하게 만든다. ‘방황’이 ‘빼앗긴 들’이란 사실을 관통하고 초과해 그러한 사실에 불가해한 부분을 만들어 놓기 때문이다. ‘답답워라/모르노라’로의 ‘방황’은 한편으로는 ‘출가’에 다른 한편으로는 ‘침실/동굴’(시의 사실)에 맞물려 있다. ‘시의 사실’을 구현하는 방법의 하나는 시 쓰기에, ‘혼합(混合)’과 ‘이존(離存)’이 양립하게 하는 것이다. 시는 개인(小我)이 전체(大我)로 향하는 혼합과 전체가 개인으로 향하는 이존이 병행하는 것을 통해서 묘미(妙美)를 가진다. 개인으로만 그리고 전체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혼색무(混色霧)’의 불가해가 ‘시의 사실’에 발현되는 것이다. ‘시의 사실’은 역설적인 언술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시의 사실’은 ‘남에게 빼앗긴’을 통해서 현재로 지속해서 ‘땅/들’을 도래하게 한다. ‘시의 사실’로의 ‘땅/들’은 ‘남에게 빼앗긴’으로, 즉 볼 수 없고 만질 수 없는 상태로 도래하는 절대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세계를 창조하는 것을 이상화는 시인의 영광으로 삼는다. 그에게 시(인)의 독자성은 글 쓰지 않는 이가 생활에 종속되어서 이르지 못하는 ‘아름다운 생활’에 손을 대는 데에서 확보되었다.

    영어초록

    Lee Sang-hwa emphasizes ‘the facts of poetry’ rather than ‘the poems of fact’. The ‘fact of poetry’ was the most specific but consistent presentation of how to write poetry throughout the theory and work at the first point where modern Korean literature diverges. The debate over ‘how should literature and reality be related’ was ongoing. At this time, ‘facts of poetry’ systematizes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facts’ in a way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non-poetry. This was a poetic practice that maintained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pulled real problems into the work.
    Lee Sang-hwa finds the value of writing poetry in creating a ‘beautiful life’, that is, in the poetic practice of aesthetically reconstructing life rather than subordinate to it. And take this as the glory of poetry. Lee Sang-hwa says that the poet must be in the middle of reality, and that it must come into fermentation. Fermentation meant reconstructing and re-creating reality. In order for ‘poetry of fact’ to be possible, it was necessary to have the self-consciousness of ‘going home’. It is just ‘stupidity’ to settle for the present life (facts). The foundation of the poet’s existence is provided through the leap of ‘going home’ through the present and advancing beyond the present. However, one must pass through the gates of tragedy. At this time, the tragedy appears as my emotion of ‘I am frustrated/I don’t know’. I has left the present, but continues to wander without knowing where the destination is or how to get there. My wanderings make Lee Sang-hwa’s poem special. This is because ‘wandering’ penetrates and exceeds the fact of ‘stolen fields’, making the fact incomprehensible. ‘Wandering’ is intertwined with ‘Go home’ on the one hand and ‘Bedroom/Cave’ (the fact of poetry)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ways to realize the ‘fact of poetry’ is to make ‘mixing’ and ‘separation’ compatible in writing poetry. Poetry acquires a mysterious beauty through the parallel action of the individual toward the whole and the whole toward the individual. The incomprehensible ‘fog of mixed colors’ appears in ‘facts of poetry’. it is also revealed through paradoxical statements. The ‘facts of poetry’ allow the ‘field’ to continue to come to the present through ‘lost to others’. ‘Land/fields’ in ‘Facts of Poetry’ is an absolute thing that arrives as ‘taken away’, that is, in a state that cannot be seen or touched. Lee Sang-hwa considered it the poet’s honor to create such a world. For him, the poet’s uniqueness lies in touching the ‘beautiful life’ that non-writers can’t think of because they are subordinated to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