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Case Study on Creating a Space in a Regional Commun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 Based on the project to create a community space in Siheung City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09
14P 미리보기
A Case Study on Creating a Space in a Regional Commun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 Based on the project to create a community space in Siheung City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6호 / 213 ~ 226페이지
    · 저자명 : 조혜옥, 이현성, 김주연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2018-22) on May 2, 2018. This is the first court plan at the national level for public design policy, and the main content is public design that people can experience in their lives. Article 10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establishes various measures to enable citizens to participate in public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s of implementing public design projects. It established a strategy for public design with a solid foundation and established a public design system led by citizens, such as revitalizing residents' councils and participating citizens. As a practical wa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public design, procedures for convergence of opinions of residents and management of councils were introduced as public invitation examination requirement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completeness and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cannot be guaranteed through government-led or formal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a system that can expand citizens'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projects and policies through case studies on the creation of spaces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Method) First, the concepts and types of participatory designs were defined through existing prior research and consideration of related literature. Second, we conducted analytical research on three cases: complex community space, small library, and Samji Park. Third, based on the analysis and study of the three cases, we analyzed and presented the step-by-step process of creating a space for the residents' participatory community. (Results)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consideration, it has been found that public design projects with resident participation are conducted in the form of government-led, resident-led, and cooperation. However, it was gradually confirmed that business promotion entities would change under the initiative of local residents for business satisfaction and sustainability. An analysis of the Siheung city Sinhyeon-dong project found that a step-by-step manual is needed so that residents can play a central role in local public design projects through the composition of residents' councils and cooperation of experts. (Conclusion) From now on, public intervention will be minimized with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sustainability of public design projects will be guaranteed only if the management body changes mainly to residents.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whole process of the project, such as the selection, scope and method of the target site, shall be systematically operated. In future research, we hope that research on the process of community change will be carried out through public design projects promoted by residents,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as gover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