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aming in Korean Wonlim : Poetic Aesthetics and Spatial Metaph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9
18P 미리보기
Naming in Korean Wonlim : Poetic Aesthetics and Spatial Metaphor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6호 / 77 ~ 94페이지
    · 저자명 : 이주희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act of naming things by human beings is a way of expressing their mental essence. People giving names to buildings in the past is also in this context. In particular,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Wonlim is an area where the act of naming appeared most prominently. In building a Wonlim, scholars gave names to architectural spaces, natural elements, and many other objects with implicit meanings and wrote many poem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names. The architectural intentions and philosophical thoughts of the time were expressed as poetry, and passed down to the later generations as a form of poetry. Therefor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se poems can clarify the significance of naming done in Wonlim. Also, the implicit meaning of the spaces metaphorically revealed by poetic aesthetics expressed through naming will be analyzed. (Method)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garding Wonlim were studied, and data on naming were collected. Since scholars in the past wrote poetry in Chinese characters instead of Hangeul (own Korean language), the poetry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English by referring to many pieces of literatures to understand the meanings. By conducting many field surveys between 2017 and 2020, the poetry was compared and identified with actually existing things. Through this process, the names of the buildings, natural objects, and things that constitute the Wonlim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s of the spatial metaphors of the names were analyzed. In addition, many poems written using the names as themes were examined to review the effects of the meanings metaphorically expressed by the names on the poetic emotions of the scholars. (Results)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numerous names born by 'naming' became the poetry themes by scholars and created various poetic aesthetics. The act of naming things in nature and writing poetry infused vital power to the things and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construction of the poetic world of scholars. Second, the names given to spaces and things in Wonlim imply the meanings of spatial metaphors. The meanings are communicated to us as poems and interpreted as poems. We in modern times can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intentions behind the formation of Wonlim through the poems and are helped by the poems in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meanings contained in the spaces. (Conclusions) As such, Interpreting poems related to space is to understand the metaphors, symbols, and mental backgrounds of the names given, and it is more valuable than understand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Wonlim. In addition, their act of naming and the poetic aesthetics revealed due to the act enables the representation of the architectural significance of Wonlim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