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의 聯句詩 창작과 그 의미-『弘齋全書』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Creation Background and Meaning of King Jongjo(正祖)'s Yeongusi(聯句詩))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12
48P 미리보기
正祖의 聯句詩 창작과 그 의미-『弘齋全書』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1권 / 41호 / 411 ~ 458페이지
    · 저자명 : 이미진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문예군주로 칭해졌던 正祖가 그의 신하들과 창작한 聯句詩를 대상으로, 그 문학적 특징과 연구시 창작이 지니는 정치・사회・문화적 의미를 찾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홍재전서』에 수록된 17제 18수의 연구시 가운데 창작의 시・공간적인 배경 및 작품 내용을 중심으로 크게 경치감상, 왕릉참배, 文武臣의 試取, 서적 간행 등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작품을 선별한 뒤, 해당 작품에 대한 보다 직접적이면서 구체적인 창작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實錄을 비롯한 『承政院日記』・『日省錄』등 관련 史料를 참고하여 당시 정조가 제신들과 연구시를 지었던 상황을 확인하였다. 정조는 따스한 봄날의 경치에 감발되어 閣臣 및 그들의 家人을 조정으로 초청하여 함께 연구를 짓는가 하면, 光陵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대신 및 각신들에게 연구를 명하였고, 抄啓文臣의 親試와 武臣의 試射 과정에서 그들과 연구를 짓는가하면, 또 『인서록』 간행을 기념하는 잔치에 모인 100여명의 신하들과 거대 장편의 연구시를 지어 이 날의 경사를 기록하기도 했다. 정조의 제신들과의 잦은 연구는 詩軸 혹은 규장각 현판으로 제작되어 훗날 각신들에게 경계와 모범을 보이기도 하는 등 정조는 詩作을 일종의 정치술로 이용하여 신하의 감정을 살피고 그들과 생각을 교류함과 동시에 신하의 文才를 확인하고 자신의 우월한 詩才를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방편으로 삼기도 했다.
    정조와 제신간에 이루어진 연구시는 여타 연구시와 비교하여 그 창작과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 하다. 주인격인 정조가 국왕의 신분이었던 만큼 그의 문집인 『홍재전서』 외에 實錄・『承政院日記』・『日省錄』 등 다양한 史料를 통해 당시 연구시가 창작되었던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대부분 연구시는 100구 이상의 거대 장편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分聯방식을 구사하였다. 그중에서도 대개 정조가 첫 구와 마지막 구를 먼저 완성한 뒤 제신들이 그 안을 채우거나, 혹은 정조가 첫 구를 이루면 그 뒤는 모두 제신들이 이어나가는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정조의 연구시는 즉석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신하 입장에서는 자신의 민첩한 詩才와 순간적인 문학적 機智를 발현하는 데 제격이었다. 작품의 문학적 완성도를 차치하고서라도 지어놓은 싯구에다가 맥락과 詩想을 연결시켜 싯구를 이어나가는 詩作방식은 참여원들의 사고와 筆力이 걸맞을 때라야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정조의 군신간 연구시 창작은 사회・문화・정치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조선후기 군신간의 지적 교류의 수단으로 연구시가 활용되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연구시의 작품성은 다소 떨어질지라도 신하 개인의 생각을 한 구 혹은 두 구에 압축시킴으로써 군신 상하간의 정을 통하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데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그의 연구시는 詩로 쓴 공적 기록물로써의 의미를 지닌다. 정조는 국가의 비교적 큰 행사에서 제신들에게 연구를 명하여 기쁜 이 날을 기념하고 훗날 이 날을 기억하기 위해 연구시로써 기록을 남기도록 하였다. 수창에 참여한 인물의 관직명과 성명을 싯구 아래 함께 작성토록 하여 당시 행사의 규모와 참여인원, 그리고 행사의 개최목적을 짐작할 수 있어 정조의 연구시는 일종의 역사적 기록물로써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조는 몇몇의 특정 인물을 연구시 창작에 반복적으로 참여시켰는데, 이를 통해 정조는 당대의 필수적인 문학행위로써 자신의 정치적 행위를 합리화시키고 자신의 세력을 확충시켰던 사실을 엿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si(聯句詩: a poem with parallelism) created by King Jongjo who was called as “literary monarch”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his subjects an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Yeongusi.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elects the four poems designed to commemorate specifically, appreciation of landscape, visiting of royal tomb, examination and recruitment of civil magistrates and military officers, and publication of books from the 18 poems listed in 『HongJaeJeonSeo』 depending on spatiotemporal background and content of a poem. After then, to look at more direct and specific background of creation of the selected poems, this study identifies the circumstances that King Jongjo created Yeongusi with his subjects with reference to historical sources such as 『Seungjeongwonilgi』 and 『Ilseongnok(Records of Daily Reflections)』 as well as Shilu(Veritable Records). Jongjo sometimes invited government officials of Kyujanggak and his family members to royal court and created Yeongusi with them when he was fascinated by a warm spring day and other times when taking a short rest on his way back to royal court after visiting Gwangneung Royal Tomb of King Sejo, presented the first and last phrase of a poem that he conceived and ordered his ministers and governmental officials of Kyujanggak to study it. His subjects created Yeongusi in Qinshi (examination in the presence of a king) or demonstrative archery, or created a full-length Yeongusi in the celebration of 『Inseorok』 with his more than 100 subjects to record the happy occasion to celebrate.
    Yeongusi created between King Jongjo and his subjects is distinct from the other Yeongusi in that it reveal its creation process. As Jongjo who deserved to be the main creator of Yeongusi was the king of a country, his collection of works like HongJaeJeonSeo, Shilu, 『Seungjeongwonilgi』, 『Ilseongnok』, many other historical sources that revealed the then- situations from which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Yeongusi can be discovered. In addition, most of his Yeongusi are full-length poems with more than 100 phrases, which seems to enable various ways of separating verses. Furthermore, Jongjo's Yeongusi was spontaneous and so good for his subjects to show their poetic genius and express their literary wits. Setting aside the degree of completion, adding one's own contexts and poetical ideas to the poetic phrases already created can lead to smooth connection of such phrases only if participating poets have enough ideas and forces of written style correspondingly.
    Such a creation of Jongjo's Yeongusi between he and his subjects implies variou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First, Yeongusi was used as a means to exchange knowledge between king and subject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though the literary value of Yeongusi might be rather low, such a form of compressing individual subjects' thoughts into one or two phrase(s) was used positively to become intimate with king and express their opinions. Furthermore, his Yeongusi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official record in the form of poem. Jongjo ordered his subjects to create Yeongusi in a relatively big event in the country to commemorate the happy day and commanded recording it in the form of Yeongusi to remember the day later. Jongjo also had some figures participate in creating Yeongusi in a repeated way. By doing so, Jongjo made his political act rationalized as an essential literary activity of his time to expand his force. So Yeongusi is a good basis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of Jong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