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원 초기 시의 거부 의식과 미적 정치성—『52인 시집』에 실린 고원의 시를 중심으로 (The Consciousness of Denial and Aesthetic Politics of Ko Won’s Early Poems — Focusing on Ko Won’s Poems in 『52인 시집』—)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8
30P 미리보기
고원 초기 시의 거부 의식과 미적 정치성—『52인 시집』에 실린 고원의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0호 / 261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성아

    초록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격변기인 1960년대는 오늘의 기원이 되는 시기로, 당대의 문학작품들에는 미적으로 새로운 현실을 향하는 치열한 모색이 담겨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까지의 한국시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는 『52인 시집』은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는 해당 앤솔러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고원의 시가 지니는 미적 정치성이 이미지를 유형학적・표상학적으로 다루는 관점들에 의해 충분히 사유되지 못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고는 고원 시의 이미지에 구조화된 잠재태들의 운동에 주목하여 문학의 미적 정치성을 분석해본다.
    고원의 초기 시세계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거부’의 의식이다. 상식과 관습의 세계에 대한 무자비한 거부는 기존의 것들을 해체시킴으로써 그의 시적 이미지는 인지의 영역 바깥에서 발생하는 운동으로 가득 찬 공간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 속에서 ‘나’를 거부하는 시적 화자는 자아의 객관화와 타자화를 통해 동일성의 폭력으로부터 벗어난다. 시에 있어 재현이 아닌 ‘표현’의 문제를 강조했던 고원은 이처럼 거부로부터 발생하는 정동적 공간을 시의 몸 자체로 구조화한다. 이로써 고원의 시 이미지는 그 내부에서 감각적인 것들의 재분배가 일어나는 미적 정치성을 실현시키는 공간이 된다. 이미지의 운동성에 주목하는 관점을 통해 시 텍스트에 내재된 문학성이 곧 외부로 이어지는 정치성이 될 수 있음이 증명되는 것이다.
    이미지의 내재적 운동성에 주목하여 고원의 시를 검토하는 것은 참여시로 한정되었던 그의 시적 경향에 대한 논의의 폭을 확장시키는 방법이 된다. 나아가 이러한 관점을 통해 난해시로 알려진 1960년대의 다른 텍스트들을 미적 실효성에 주목하여 새롭게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당대의 전체적인 시단을 포괄적으로 들여다보는 데 있어 선행되어야 할 필수적인 작업이다.

    영어초록

    Korean literary works in the 1960s contain a fierce search for a aesthetically new reality. In this context, 『52인 시집』 becomes an important research material.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anthology, it was found that the aesthetic politics of the poetry of the Ko Won w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by the perspectives of dealing with images typologically and representationally.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aesthetic politics of literature by paying attention to the latent movement structured in the image of Ko Won poetry.
    The heart of the early poem-world of the Ko Won is the consciousness of ‘denial’. The ruthless rejection of the existing world makes poetic image a space full of movement that occurs outside the realm of cognition. In this image, poetic speakers who denial “I” escape from the violence of identity. Ko Won, who emphasized the ‘expression’, structures the affective space arising from denial into the body of the poem itself. As a result, the poetry image becomes a space for realizing aesthetic politics in which the redistribution of sensuous things occurs.
    Examining Ko Won poetry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rinsic motility of the image expands the discussion on his poetic tendencies. Furthermore, through this perspective, other texts from the 1960s, known as esoteric poetry, can be newly reviewed by paying attention to aesthetic effec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