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佛家 禪僧의 萬行詩 考察 (A Study of Buddhism Zen Priest(佛家 禪僧)'s Poems of Finding True in Walking(萬行詩))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6
22P 미리보기
佛家 禪僧의 萬行詩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59호 / 105 ~ 126페이지
    · 저자명 : 김미선

    초록

    본 논고는 「佛家 禪僧의 萬行詩 考察」이다. 서론에서 제시한 연구범위·연구사 검토·연구 방향을 토대로 불가의 선승이 수행하는 일체의 행법 속에서 만행의 구도를 통한 오도시를 살펴보았다. 무주 무착의 행에서 나온 선승의 만행 결과로 빚어진 내용을 송나라 확암선사의 심우송에서 선가 만행시의 인식 배경으로 검토하였다. 심우송은 심우·견적·견우·득우·목우·기우귀가·망우재인·인우구망·반본환원·입전수수의 10단계로 동자가 심우를 하는 만행을 선화로 그려내고 게송을 붙인 것이다.
    이러한 선승의 치열한 구도의 만행시를 1. 以行喩禪의 求法과 2. 行禪不二의 任運을 만행시의 내용으로 고찰하였고, 그 특질로 이행유선의 구법과 행선불이의 임운으로 밝혀 만행시의 위상을 가늠해 보았다. 1. 이행유선의 구법에서는 혜초선사의 구법순례 만행기인 『왕오천축국전』에 실려 있는 만행시를 따라 실크로드를 넘은 듯하다. 이어 원효성사가 만행의 무애법을 펼치며 발심·수행·교화를 일평생 만행을 통해 실천한 ‘일체유심조’의 행에 절로 발심을 얻었다. 소요선사는 소를 타고 소를 찾는 사람처럼, 도가 이미 마음속에 구족되어 있음을 만행 속 증득한 내용에서 짚어 볼 수 있었다. 함허선사는 무공적 소리가 만행구도 속에서 터져 나왔다. 청허선사는 만행을 통해 주관을 모조리 지워 버린 진공의 경지인 ‘인경구탈’의 오도를 불리문자의 경지에 드러내었음을 고찰하였다.
    2. 행선불이의 임운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그대로에 내 맡기고, 그대로 받아 들여서 아무런 작위 없음을 무애자재, 또는 임운무작 묘용이라고 하는 진공묘유의 실체를 遮照同時의 임운으로, 부휴선사의 은산철벽에서도 진일보하는 임운, 송계선사의 천지간에 바릿대 풀어놓고 무애가를 부르며 법희선열을 드러낸 임운으로 만행시 일면의 위상으로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운담선사의 운수행각에서 만행의 꽃 우담발화를 피워낸 임운의 위상을 각각 짚어 볼 수 있었으니, 한문학의 많은 내용에 차지하는 불교문학은 매우 중요한 범위에 있는 대상이라 하겠다. 또한 그 안에서 불가 선승의 만행시는 항하사 속 하나의 모래알 같지만, 불교문학을 다각도로 접근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s ⌜a study of Buddhism Zen Priest(佛家 禪僧)'s poems of finding true in walking(萬行詩)⌟. The study range of this study was selected to leave poems of finding true in walking through searching right road(求道) of finding true in walking in the manner of learning of Buddhism from effort all Buddhism Zen Priest who was one of the four family of Daeseung (四家大乘). Zen poetry study results which revealed in view of study history didn't cover the much scope but a study of Buddhism Zen priest's poems of finding true in walking much more didn't revealed real conditions.
    ‘Eungmusoju isenggisim (應無所住 而生其心)' means likely air decreasing of claude in empty sky so it produces mind of nothing staying. In order to do that it should realize to increase as muju muchak(‘無住’·‘無着’). This is the position of realizing of increasing from Zen ascetic exercises person. For this, Buddha said to "Do not devote yourself over 3 days under the same tree" If staying, tenacity takes place and if tenacity takes place, there are bringing forth the agony of 8 ten thousand and 4 thousands. Like this Zen priests who think 3 days devoting themselves about three months tranquil life and if tranquil life finishes, they depart to find true in walking. Through the practice of muju muchak, they search to good knowledge(善知識) and check their study themselves. This priest of finding true in walking called to wunsuhaenggakseung(雲水行脚僧).
    In the Buddhism, when the master communicates his disciple, he teach Balwu(鉢盂) as the symbol of Jeonbop(傳法). It seemed that Zen priest of finding true in walking had only one balwu in knapsack. If the knapsack was big, there was taking place the possession and tenacity so there were hindrance of ascetic exercises. Through study of results contents of Zen priest, in this study's research direction at first, I viewed Buddhism Zen priest's background of poems of finding true in walking recognition from Simwusong( 尋牛頌)by Whuakamseonsa (廓庵禪師)in Song(宋) country. With this basis, I studied our nation Buddhism poems of finding true in walking and I divided into two contents traits, both 1. desiring of Buddhism of Ihaengyuseon(以行喩禪) and 2. Imwun(任運) of Haengseonbuli(行禪不二). Finally I took aim that the phase of poems of finding true in walking by Zen priest in Buddhism which revealed in this direction study's point of an argu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