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지훈 육필시고 『지훈시초(芝薰詩鈔)』 연구 (A study of the manuscript Jihoon Sicho(芝薰詩鈔))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조지훈 육필시고 『지훈시초(芝薰詩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90호 / 39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종훈

    초록

    이 연구는 조지훈(趙芝薰, 1920~1968)의 친필 시집 원고 『지훈시초(芝薰詩鈔)』의 성격과 위상 그리고 편집 연도를 탐구한 시도이다. 이 시집의 원고가 발견된 지 30년이 지난 2001년 세상에 공개되었을 때에는 다른 원고와 섞여 소개되어 그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시집 원고에는 31편의 시가 3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각각의 부는 서로 변별되는 정서로 묶을 수 있었다. 비애와 고요와 전망으로 대별되는 시집의 부 구성은 조지훈 전체 시의 이력을 환기한다. 그는 고요한 자연을 시의 본원적 고향으로 여겼으나 사회적 문제와 내적 정서를 시에 표현하는 것을 가리지 않았다. 한편 제목 변경, 본문 수정 흔적, 행과 연의 형태 등을 종합해서 고려했을 때 좁게는 1943년에, 넓게는 1943년에서 1945년 사이에 이 원고가 묶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1952년 발간한 제1시집 『풀잎단장(斷章)』뿐 아니라 1946년 발간한 공동시집 『청록집(靑鹿集)』보다 빠른 시기이다. 시집 형태로 완성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정식으로 간행되지 못했던 것은 조지훈이 『청록집(靑鹿集)』 필진에 참여하면서 31편의 시 중 상당수를 이 동인 시집에 수록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록 출간되지는 못했으나 첫 번째 단독 시집으로 기획된 『지훈시초(芝薰詩鈔)』은 『청록집(靑鹿集)』의 확장판이자 『풀잎단장(斷章)』의 압축판이라 말할 수 있을 만큼 간행 시집의 상당수 시가 여기에 실려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character, status, and year of editing of Jihoon Sicho(芝薰詩鈔), a handwritten poetry manuscript of Cho Jihoon (趙芝薰, 1920~1968). When the manuscript of this collection of poetry was released to the world in 2001, 30 years after its discovery, it was mixed with other manuscripts and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its reality. In the poetry manuscript, 31 poems were evenly distributed in 3 parts, and each part could be grouped with distinct emotions. The sub-composition of the collection of poetry, which is broadly divided into sorrow, quietness, and prospect, evokes the history of Cho Jihoon’s entire poetry. He regarded quiet nature as the original hometown of poetry, but he did not choose to express social problems and inner emotions in poetry.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the manuscript was bound in 1943 in a narrow way, and between 1943 and 1945 in a broad sense when the title change, traces of text revision, and the form of line and line were taken into account. This is earlier than the first poetry collection, Grass-sketch(풀잎斷章) published in 1952, as well as the joint poetry collection Collection of Chenglok poems(靑鹿集) published in 1946. Despite being completed in the form of a collection of poetry, it seems that it was not published officially because Cho Ji-hoon participated in the writing of Collection of Chenglok poems(靑鹿集) and had to include many of the 31 poems in this book of poetry. Although not published, Jihoon Sicho(芝薰詩鈔), which was planned as the first solo poetry collection, is an expanded version of Collection of Chenglok poems(靑鹿集) and a compressed version of Grass-sketch(풀잎斷章). There are many poems published 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