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의 사상을 통해 고찰한 한국철학의 현대적 역할 — 생명⋅상생⋅평화⋅조화 정신을 중심으로 — (The modern role of Korean philosophy considered through the thoughts of Dowon Ryu Seung-gu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5
31P 미리보기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의 사상을 통해 고찰한 한국철학의 현대적 역할 — 생명⋅상생⋅평화⋅조화 정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81호 / 147 ~ 177페이지
    · 저자명 : 강보승

    초록

    본고는 현대 한국철학계의 석학 도원 류승국의 사상으로부터 한국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도출하고, 현대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국철학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도원은 한국철학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세계사적 안목을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사상적, 철학적 특질을 통찰하였는데, 그가 제시한 한국철학, 사상, 문화의 특질은 생명과 조화, 평화와 상생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도원은 역사를 순환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 시대를 물질문명 발전의 정점으로 규정하면서 수렴과 조화의 후천 시대가 도래했다고 판단하였다.
    도원은 한국철학의 특질 제시와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도원은 과학기술이 인간을 위해 존재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철학의 방향이 ‘인간’을 향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과학기술과 종교, 즉 형이하와 형이상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인간의 주체적 제어로 양자 모두 인간을 위하여 기능해야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도원은 인간이 과학과 종교를 제어하고 진정으로 인간다운 세상을 열기 위해서는 한국철학의 핵심 정신인 평화, 상생, 생명, 조화의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세계가 지구촌으로 하나가 되어가면서 국가 간 민족 간 소통과 협력이 필수불가결하게 되었으므로, 한국철학의 핵심 정신은 미래사회에 더욱 중요한 가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도원은 실천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으므로, 한국철학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실천해야 하는 과제가 남게 되었다. 필자의 견해로 그 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한국철학 정신을 초등⋅중등⋅고등 교육에 반영해야 하며, 둘째, 정치⋅사회 분야에 한국철학 정신과 경세론을 투영시켜야 한다. 셋째, 방송과 언론, 미디어를 활용하여 한국철학을 대중에 알리고, 넷째, 전공자들의 객관적⋅과학적 연구로 유용성 있는 연구 성과를 도출하여 현대인들이 한국철학 정신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to derive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philosophy should move from the thoughts of Dowon Ryu Seung-guk, a scholar in modern Korean philosophy, and to examine the role of Korean philosophy in resolving modern social problems.
    Dowon uncover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original thought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philosophy and Eastern philosophy in general and an insight into world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ilosophy he presented can be defined as life, harmony, peace, and coexistence. In addition, Dowon believed that history was cyclical and defined this era as the peak of material civiliz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Dowon emphasized that even if science and technology are great and convenient, they must exist for the benefit of humans, and emphasized that the direction of philosophy's inquiry should be ‘humans.’ He also argued that science, technology and religion must be balanced and that both function for the benefit of human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In addition, he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science and religion to function for humans, humans themselves must be able to independently control both.
    Dowon believed that in order for humans to control science and religion and open a truly humane world, they must practice the values of peace, coexistence, life, and harmony, which are the cor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He argued that as the world becomes one as a global villag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and peoples have become essential, so the cor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will become an even more important value in future society.
    However, since Dowon did not suggest concrete measures to be implemented in reality, he left to future generations the task of setting up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role of Korean philosophy in detail. The tasks presented are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must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o that schools can teach it. Second,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must be incorporated into the political and social fields. Third, broadcasting, journalism, and media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inform the public of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Fourth, researchers majoring in Korean philosophy should help modern people understand and accept the spirit of Korean philosophy by deriving useful research results through obje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