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대 팽소승(彭紹升)의 화엄염불론과 법신설 (Huayan Pure Land Theory and the Theory of Dharma-body by Peng Shaosheng During the Qing Dynast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12
43P 미리보기
청대 팽소승(彭紹升)의 화엄염불론과 법신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3권 / 77 ~ 119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중국불교에서 정토법문은 다른 불교 전통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결합한다. 이런 교류와 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이론과 전통이 출현하기도 한다. 다른 시대에 비해 불교 연구가 미약하다고 평가되는 청대(淸代)에 정토법문만은 크게 발전한다. 팽소승같은 거사는 정토법문과 화엄사상의 관련에 주목하고, 두 전통의 연대를 모색한다. 그는『 화엄경』이 정토법문을 지향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때 팽소승은 화엄학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법신 개념을 응용한다. 그는 정토법문에서 주로 거론하는 아미타불이 아니라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을 주된 염불수행의 대상으로 삼는다. 아울러 염불수행을 통해서 지향하는 것은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극락이 아니라 비로자나불이 언제나 존재하는 법계 혹은 화장세계임을 말한다. 이는 극락왕생의 공간을 미래의 다른 세계가 아니라 현재의 이 세계로 돌려놓는 역할을 했다.

    영어초록

    In Chinese Buddhism, the Pure Land teachings actively interacted and were integrated with other Buddhist traditions.
    At times, new theories and traditions emerge through these exchanges and integrations. During the Qing dynasty, a period in which Buddhism was viewed a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other historical periods in China, the Pure Land teachings managed to develop substantially. Peng Shaosheng,a householder and scholar of Buddhism of Qing Dynast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e Land teachings and the philosophy of the Huayan School and sought solidarity between the two traditions. He argued that the Huayan Jing,meaning the Flower-adorned Sutra, is oriented toward Pure Land teachings. In so doing, he employed the concept of Dharma-body that emerged prominently in the Huayan School.
    In lieu of Amitabha that was often brought up in Pure Land Buddhism, he used Vairocana as the object of Buddhist recitation practice. Also, he said that the goal of the Buddhist recitation practice was not to reach the Pure Land in which Amitabha resided, but the Dharmadhatu or the Lotus Treasury World in which Vairocana always existed. This line of thought played the role of seeking the space of peace and happiness not in the other world that exists in the future, but in this world of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