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야기의 서승(書承)에 대한 근대적 관심과 기록정신 (Modern Interest in the Written Transmission of Stories and the Spirit of Recordi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04
25P 미리보기
이야기의 서승(書承)에 대한 근대적 관심과 기록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21호 / 69 ~ 93페이지
    · 저자명 : 최원오

    초록

    본 논문은 이야기의 서승에 대한 근대적 관심이 된 대상은 무엇이었고, 그것의 배후에 숨겨져 있는 기록정신은 무엇인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런데 근대라는 시기의 특성상, 구승되던 이야기의 기록화가 아니라, ‘서승(書承)의 서승(書承)’ 과정을 구비문학적 시각에서 고찰함으로써 주어진 논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주지하다시피 19, 20세기에 들어서 구비전승뿐만 아니라 책에서 책으로 전승되는 서승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특히 서승은 구승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지만, 그 기본적 원리는 구승과 유사한 것이었다. 일부는 당대의 구승에서 작품을 취하여 기록한 것도 있지만, 또 일부는 이전의 책에서 작품을 취사선택하고, 개변함으로써 이본을 생산해내는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은 서승의 구비문학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표제에 제시되어 있는 ‘설(說)’, ‘담(譚)’, ‘문(聞)’, ‘담(談)’ 등은 이것을 ‘상징적’으로 나타내 준다. 여기서 ‘상징적’이라고 표현한 것은 서승이 의사구승(擬似口承)의 형식을 취하였다고 보기 때문이다. 문자를 이용하여 이야기를 기록하는 것은 ‘기록하다[錄]’나 ‘짓다[作, 記]’가 더 어울릴 터인데, 그렇게 하지 않은 것은 이야기의 생성 지점내지는 출발 지점이 구승에 있었음을 나타내주는 것이다. 따라서 19. 20세기의 서승이야말로 ‘의사구승’의 정신을 지향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승으로써 구승을 실현하려는 욕망’, 그것이 이 시기에 성행한 서승의 기록정신이다. 그리고 이 시기의 기록정신, 즉 ‘의사구승’을 실현하려는 기록정신은 각종 이야기를 ‘기(奇)’로 포괄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읽음으로써 이야기를 듣고, 읽음으로써 소문을 듣고, 읽음으로써 흥미꺼리를 듣게’ 하기 위해서는 독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강력한 표제가 요구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기(奇)’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objects of modern interest in the written transmission of stories and the spirit of recording hidden behind the objects. Particular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imes, we discussed the themes by reviewing ‘the written transmission of written transmissions’ rather than the written versions of orally transmitted stories from the viewpoint of oral literature. As is known, ente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written transmission, which transmitted stories from book to book, became active along with oral transmission. Although written transmission was quite different from oral transmission, its basic principle was similar to that of oral transmission. Some recorded orally transmitted works in those days, but some others selected stories from existing books and produced different versions by adapting the stories. This process shows that written transmission bore the nature of oral literature as suggested symbolically by book titles ending with ‘spoken story[Seol (說)’, ‘Dam (譚)’, ‘Mun (聞)’ or ‘Dam (談)].’ Here, the word ‘symbolic’ was used because written transmission cannot be considered to take the form of quasi‐oral transmission. It might be better to use ‘Record [錄]’ or ‘Compose [作, 記]’ to entitle records of stories in text, but such characters were not used. This indicates that the originating or starting point of the stories was in oral transmission. Accordingly, we can say that written transmiss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pursued the spirit of ‘quasi‐oral transmission.’ In other words, ‘the desire to achieve oral transmission through written transmission’ was the spirit of recording practiced in those days. Furthermore, the spirit of recording in those days, namely, the spirit to achieve ‘quasi‐oral transmission’ was implemented by conveying a variety of stories through comprehending them in ‘unusual thing (奇).’ An impressive title that could attract readers was required in order to make people hear stories by reading, hear rumors by reading, and hear interesting things by reading, and it was ‘unusual thing (奇).’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