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란 이후 순천지역 사족의 변화와 『승평지』 편찬 (The Change of Local Elites in Suncheon and the Compilation of Seungpyeongji after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1592-1598))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임란 이후 순천지역 사족의 변화와 『승평지』 편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24권 / 177 ~ 206페이지
    · 저자명 : 이욱

    초록

    16-17세기에는 각 군현 단위로 수령과 지역 사족이 협조하여 자기 지역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정리한 읍지가 널리 편찬되었다. 이는 사림의 성장과 관련이 있었다. 16세기 이후 몇 차례 사화를 거치면서 등장한 사림세력들은 도학정치를 지방 통치에 구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는 통치의 기본 자료인 호구, 전결, 조세 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했다. 이와 함께 자기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정리함으로써 지역민의 자긍심과 문화의식을 고조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이 때문에 이 시기 간행된 읍지는 편찬자의 의도, 지역의 요구 등에 따라 편찬 목적이 다양하였다. 각 지역마다 다른 특성의 읍지가 편찬되었다.
    이 글은 다양한 목적과 특성을 지닌 읍지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피기 위해 작성되었다. 순천부사 이수광이 1618년 간행한 『승평지』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성격을 분석하였다. 『승평지』는 『동국여지승람』을 증보하는 성격을 가졌다. 이수광은 순천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록이 『동국여지승람』 뿐이고 그마저도 소략한 것을 아쉬워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된 이유는 남아있는 기록이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견문을 통해 보완하였고, 그마저도 불충분하여 자신이 새로운 기록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동국여지승람』의 내용 중 잘못된 곳을 바로잡거나 『동국여지승람』 편찬 이후의 변화상을 현실에 맞게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이수광은 『승평지』를 순천 부사의 행정을 돕기 위한 보조 자료로 간주하였다. 그는 순천 곳곳을 다니면서 현지 실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순천의 조세 부담액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을 정리하여 편찬함으로써 후임 수령과 순천민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다. 그 결과가 『승평지』 편찬이었다.
    『승평지』 편찬은 임진왜란을 전후해 순천 향권을 새롭게 장악했던 세력의 위상을 강화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이들 신입 사족들은 김굉필 추모 사업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순천 향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 『승평지』에서는 그들의 학문연원이 김굉필과 연결됨을 강조함으로써, 그들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다양한 성리학 진흥 사업에 대해 상당히 많은 양을 할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순천 사족들은 이수광의 『승평지』 편찬에 적극 협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the governor and the local elites cooperatively published local gazetteer about the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in their own region. This is related to the growth of Sarim. Since the 16th century, Sarim wanted to use Dohak politics to govern their area. In order to do this, they needed some specific information on census, arbitrary decision and tax. They also tried to write down their own unique culture to make people feel proud of their area. local gazetteer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t and the needs of the area. Each area had its own unique local gazetteer publishe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azetteer which had various purposes. It analyzes the content and features of Seungpyeongji published by Lee Sugwang who was the governor of Suncheon. Seungpyeongji is seen as an expanded edition of Donggukyeojiseungram. Lee Sugwang thought that there were not enough documents left that are relating to Suncheon, except for Donggukyeojiseungram. He complemented it by visiting places and even recorded new information on his own. Then he was able to correct the wrong information in Donggukyeojiseungram and make it fit into the reality in that period of the time.
    In addition to this, he considered Seungpyeongji as an assisting material to help the administration of Suncheon. He decided the amount of tax by visiting various places within Suncheon. His goal was to help people in Suncheon by writing down his experience. He achieved his goal by publishing Seungpyeongji.
    He also intended to strengthen the government power which was newly entering in Suncheon by publishing Seungpyeongji. The newly entering local elites were able to get the power by participating the memory of Kim Goeingpil. Seungpyeongji highlights the fact the origin of its study is related to him and this raised their status. It also concentrates on the promotion of Confucianism which they participated in. This made the local elites participate actively in publishing Seungpyeongj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