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미황사의 불교조각과 조각승의 활동 (Buddhist Sculpture and Sculptor Monk’s Activity of Mihwang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조선후기 미황사의 불교조각과 조각승의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25호 / 7 ~ 30페이지
    · 저자명 : 정은우

    초록

    전라남도 해남 미황사에는 주요한 전각이 남아 있고 그 내부에는 각각의 도상과 특성에 맞는 조선후기 불상들이 봉안되어 있다. 주요 전각은 1754년에 중건된 대웅전(보물 제947호), 비슷한 시기로 추정되는 응진당(보물 제1183호)과 명부전이다. 전각에 봉안된 불상들은 대체로 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시대적 특성을 지닌 조형성과 우수성을 지닌 작품들이다. 그러나 각 전각의 불상들에는 일부 복장물은 남아있지만 조각승과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발원문을 비롯한 중요한 물목은 거의 없어진 상태이다. 즉 상들에 대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도 거의 없으며 불상을 만든 조각승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대웅전과 명부전, 응진당의 존상들에 대해서는 1754년 3전각의 불상들을 개금했다는 기록과 1737년 응진당 존상의 개금을 했다는 내용이 남아 있어 하한연대는 확인되는 정도이다. 그러나 각 불상의 양식적 특징과 분석을 통해 명부전은 조각승 印均,, 명부전은 조각승 雲惠, 응진당 존상들은 조각승 色蘭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조각승 인균, 운혜, 색난은 17세기 전라남도에서 활동한 조선후기 최고의 조각승으로 미황사 전각의 존상들 역시 17세기 전반과 중엽경 그리고 17세기후반경 만들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불상들이 제작된 17세기는 주전각과 부속전각, 불상과, 불화 조성, 개금과 개채 등 미황사의 주요불사들이 주도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로서 미황사의 최전성기라 할 수 있다.
    미황사에 남아 있는 유물은 대웅전 상량문과 괘불 등을 통한 18세기의 기록과 작품들이다. 다행히 전각에 남아 있는 불교조각의 양식적 분석을 통해 17세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에서 이는 18세기 이전의 미황사의 역사를 보완해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여기에 참여한 조각승들은 이 시기 이 지역에서 활동한 최고의 조각승들이라는 점도 당시 미황사의 사격을 짐작하게 하는 요소이다.

    영어초록

    In the Mihwangsa(美黃寺) temple of Haenam-gun in Jeollanam-do province, buddhist main buildings(殿閣)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main and Buddha statues with iconograph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 enshrined in the building. Main buddhist buildings are the Daeungjeon(大雄殿,Treasure No. 947) building reconstructed in 1784, Eungindang(應眞堂, Treasure No. 1183)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the similar period, and the Myungbujeon(冥府殿). The Buddha statues enshrined in the buildings have been possibly produced in the 17th~18th centuries. Most of them are sculptures with formality and excelle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However, some Buddhist secret objects remain in the Buddhist statues of each building, important items such as votive inscriptions identifying sculpture monk and construction period are almost missing. There are no record about the period when statues built and about the monk who manufactured sculptures.
    Regarding to sacred Buddha images of the Daeungjeon, the Eungindang and the Myungbujeon, there are records that the Buddha statues of the temple had been gold plating in 1754, and the Buddha image of the Myungbujeon gold plating in 1737. By observ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each Buddhist statue, the sculpture of Daeungjeon was possibly built by sculptor monk Ingyun, the sculpture of Eungindang by monk Eunhye, and the sculpture by the Myungbujeon by monk Saeknan. Three sculptor monks, Ingyun Eunhye and Saeknan, actively worked in the area of Jeollanam-do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and were the best known sculptor mon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a images of Mihwangsa temple were constantly built throughout 17th century. The temple was the highlight of prosperity in 17th century. During that period, Buddhist statues were produced, many buildings including main and attached were constructed,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s produced, and major Buddhist events such as gold plating and re-painting on Buddha statues experienced.
    At present, the remnants of the Mihwangsa temple are Daeungjeon (上樑文) and giant buddhist painting(掛佛) which are the records and works in the 18th century. By analyzing styles of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in the temple, the Buddhist statues were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This is an important data to complement the history of Mihwangsa temple before the 18th century. As the best well known sculptor monks during that period participated to make sculptures of the Mihwangsa temple, it showed that the temple played locally important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