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후반 彫刻僧 勝浩의 활동과 불상 연구 (A Study on Activities and Buddhist Statues of the Monk-Sculptor Seungho)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06
37P 미리보기
17세기 후반 彫刻僧 勝浩의 활동과 불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8호 / 83 ~ 119페이지
    · 저자명 : 최선일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조각승 승호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까지 승호가 제작한 불상은 개별적으로 조사되었지만, 그의 활동과 불상 양식에 대한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각승 승호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1640년에 수화승 청허와 경남 거창 연수사 목조아미타불좌상(현재 거창 포교원봉안)을 제작한 것이다. 그는 1655년에 수화승 도우와 경북 칠곡 송림사 배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제작하고, 1657년에 칠곡 송림사 대웅전 목조석가불좌상과 1668년에 경북 경주 기림사 대웅전 기와 제작에 시주자로 참여하였다. 그후승호는 수화승으로 1678년에 경북 청도 화악산 천주사 석조석가삼존불좌상과석조지장보살좌상(현재 청도 덕사 봉안)을, 1684년에 부산 기장 장안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1688년에 경북 군위 인각사 석조석가삼존불과 16나한상 등을만들고, 1704년에 경북 영천 수도사 노사나불괘불도 조성에 시주자로 참여하였다. 또한 그는 1707년에 수일, 두심 등과 전남 장흥 보림사 신법당新法堂 불상개금과 불화 改造에 참여하였다. 그와 관련된 마지막 문헌은 1719년 경주 기림사 중수·도금발원문에 勝浩 靈駕라는 문구를 통해 1717년부터 1719년 사이에열반에 들었음을 알 수 있다.
    승호가 제작한 석조불상의 높이와 무릎 너비는 1:0.62-1:0.80으로, 조선 후기에 목조불상의 신체비례와 유사하다. 승호는 주로 응진전과 지장전에 불상을 제작하였는데, 이는 중소도시 사찰의 부속 전각이 1670~1980년대에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높이와 무릎 너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이에비하여 무릎 너비가 넓어지고, 신체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난다.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대의 처리는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 끝자락이 U자형이나V자형인데, 수연과 수일이 조성한 불상은 펼쳐지거나 U자형으로 처리되어 차이가 있다. 특히,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하반신에 걸친 옷자락은 복부에서 수직으로 흘러내린 끝부분이 옷깃 같이 접혀 있다.
    조각승 승호의 계보는 道祐(道雨, -1633-1664-) → 勝浩(勝湖, -1640-1719경-), 尙倫(-1657-1688-), 呂岑(-1678-1688-) → 守日(守一, -1675-1730-), 守衍(-1681-1709-), 守宗(-1684-1685-), 法宗(-1684-1730-) 등으로 이어졌다. 특히, 조선후기 제작된 석조불좌상은 영남의 승호와 호남의 충옥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들이 활발하게 제작하였다. 조선후기 제작연대를 알 수없는 무기년명 불상 가운데 양산 신흥사 대광전, 울주 석남사 대웅전, 대구 동화사 영산전, 부산 육주사(통도사 성보박물관 봉안), 달성 용연사 영산전, 달성 북지장사 대웅전(석조보살좌상), 청도 대비사 대웅전, 창원 성주사 영산전, 고성옥천사 대웅전 등의 석조불좌상은 전체적인 인상이나 대의 처리 등에서 승호와그 계보 조각승이 1680년부터 1720년 사이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발원문과 사적기를 중심으로 조각승 승호의 생애를 살펴보면, 그는 1620년대 출생하여 승려가 된 후, 1640년대 불상 제작의 수련기를 거치고, 1650년대 중반에 副畵僧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1670년대 首畵僧으로 경주,청송, 기장, 군위 등 경상도 지역의 사찰에 응진전이나 지장전 등에 많은 석조불상을 조성하였다. 특히, 그는 경주 기림사에 많은 시주를 한 점이나 조선후기경주 골굴암에서 석조불상을 만든 원석을 채굴한 점으로 미루어 기림사에 거주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about monk sculptor Seungho(勝湖), who was active between the late 17th C.E and the early 18th C.E. Although several studies, dealing Seungho’s works, have been published, these studies did not try to analyz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eungho’s sculptures. The earliest written record, mentioning Seungho’s name, was found in wood Amitabha 1640’s votive inscription in Yeonsusa Geochang.
    This document showed that Seungho participated in monk sculptor Chengheo’s project. In 1655, Seungho worked with another monk sculptor Dou in Songnimsa Chilgok. Seungho also participated in 1657 wood Sakyamuni sculpture project at Songnimsa Daewoongjun. In 1668 Seungho donated money for roof tiles to Girimsa Gyeongju. After late 1670s, Seungho seemed to be a leader of his own monk sculptor school. He created a stone 1678 Sakyamuni triad and a stone Ksitigarbha at Cheonjusa Chengdo. In 1684 he made stone Amitaha at Jangansa, Gijang. Seungho rendered a stone Sakyamuni triad and 16 Buddha’s disciples at Ingaksa, Gunwi in 1688. Seungho participated various Buddhist sculptures projects such as Sudosa’s Nosanabul gwaebul in 1704 and Borimsa Sinbeopdang(新法堂)’s regilting Buddha as well as repainting of Buddha painting. The last written document, which could trace Seungho’s activity, was found in Girimsa Gyeongju. This document, written in 1717, was a record about Buddha’s regilting. In this document, in front of Seungho’s name the term Yeongga(靈駕) was situated. This term is only used for a person who died within two or three years ago. Based on the usage of this term, Yeongga, we assume that Seungho passed away dead between 1716 and 1719.
    The body ratio of Buddha sculpture, which was made by Seungho, is similar to other late Joseon dynasty Buddha sculptures. The ratios of height verse width of knees are between 1: 0.62 and 1: 0.8. He mainly rendered Buddha sculptures for Eungjingeon and Myeongbujeon. The reason is that during Seungho’s active period, between 1670s and 1710s, there were great demands to build Eungjingeon and Myeongbujeon for middle and small size temples.
    The Buddha body ratio well displays Seungho’s stylistic feature. As long as approaching 18th C.E. Buddha sculptures, its the width of knees and size of head becomes longer and higher respectively. The ‘U’ shape drapery on Buddha’s right shoulder is another feature of Seungho’s works. In addition the third feature can be found at the lower body of Buddha. The central draperies of a lower body of Buddha are folded identically. Such identically pleated draperies are only found on Seungho’s works.
    The pedigree of Seungho’s monk sculpture is summarized like this: Dowoo(道祐,-1633-1664-) → Seungho(勝浩, -1640-1719-), Sangryun(尙倫, -1657-1688 -), Yeojam(呂岑, -1678-1688-) → Suil(守日, -1675-1730-), Suyeon(守衍, -1681-1709-), Sujong(守宗, -1684-1685-), Bubjong(法宗, -1684-1730-).
    Based on analyzed stylistic features, Seungho seemed to be specialized in stone carving, and his active area was mainly Yeongnam province. Inside of Yeongnam province, there were many Buddha sculptures, which might be Seungho’s works.
    These sculptures are in Sinheungsa, Donghwasa, Yongyeonsa, Bukjijangsa, Daebisa, Seongjusa, Okchensa. All of these temples are in Yeongnam province. These undated Buddha sculptures also share Seungho’s sculptures stylistic features, so we can estimate that these were rendered by Seungho himself or Seungho’s followers between 1680 and 1720.
    Based on found votive inscriptions and temple histories, we can presume Seungho biography. He might be born around 1620 and finish his apprentice as a monk sculptor in 1640s. Seungho became the second rank monk master around 1650s. In 1670s he led his own monk sculptor school and rendered various Buddha sculptures in Eungjingeon and Myeongbujeon in Yeongnam province. Especially the fact that Seungho created Buddha sculptures at Golguram and donated two times to Girimsa well reflects that Seungho was Girimsa’s mon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