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승군역(僧軍役) 운영방식의 변화와 의승방번전제(義僧防番錢制)의 시행 (17th-18th centuries Changes in the Way the Monk's Army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the Payment System (義僧防番錢制))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2.03
28P 미리보기
17~18세기 승군역(僧軍役) 운영방식의 변화와 의승방번전제(義僧防番錢制)의 시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8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박세연

    초록

    조선전기 국가는 승려의 출가를 억제하여 피역층(避役層)의 확대를 가능한 막고자 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농민을 대신할 역 부과대상의 확보 필요성이 절실해지면서 새로운 군사력을 찾던 중앙정부는 전쟁 당시 활약했던 승군을 전쟁 이후에도 그대로 군사적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국가에서는 일괄적이고 직접적으로 승군을 조발하기보다는 명망있는 고위 승려를 총섭 등으로 임명하고 이들로 하여금 승군을 모집(募集)하게 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인원을 확보하였다.
    17세기 후반 효종이 북벌론(北伐論)을 바탕으로 강력한 군비확장책을 시행하면서 의승(義僧)이라는 이름의 승군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효종은 양계지방을 제외한 전국의 승려를 윤회분정(輪回分定)하여 올라와 입번하도록 하는 의승역(義僧役)을 시행하였다. 의승역의 시행은 곧 중앙정부(軍營)-도-군현-사찰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승군 조발체계가 성립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정체제의 말단에는 사찰이 있었다.
    중앙정부의 직접적 의승 조발(調發)은 숙종대(肅宗代) 전반까지 강화되었다. 그러나 북방 정세에 대한 불안이 대두되면서 18세기 전반 도성방어체계가 정비되고 외적이 도성으로 오는 길목의 주요 산성 역시 정비되었다. 지방 산성이 잇따라 축조되고 그에 따른 승군의 수요가 늘어난 반면 균역법이 시행되면서 지방재정은 더욱 어려워졌다. 결국 영조는 균역법의 보완 과정에서 기존에 관행화된 의승의 대립(代立)을 인정하여 의승의 상반(上番)을 폐지하고 이를 지방에서 돈으로 대납하게 하는 의승방번전제(義僧防番錢制)를 실시해 남․북한산성의 의승을 고립(雇立)하였다.
    반면 지방 승군은 더 확대되었다. 지방은 승려의 호적 등재 등을 계기로 승려에 대한 통제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자체적으로 산성에 승군을 윤회분정하는 ‘지방 의승(地方 義僧)’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승역을 보다 합리적으로 운용하면서도 균역(均役)의 이상을 지키기 위한 중앙정부의 의지에 의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ate tried to prevent the expansion of Monk by suppressing monks from leaving the village. However, as the need to secure targets for reverse imposition to replace farmers became urgen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sought new military power, used the monk soldiers who were active during the war as they were even after the war. However, the state has secured the necessary personnel by appointing a prestigious high-ranking monk as a general secretary, etc., rather than collectively and directly raising monks, and having them serve as monks.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King Hyojong implemented strong arms expansion measures based on the Northern Dharma, a special monk named Uui appeared. King Hyojong established Buddhist monks from all over the country except the Yanggye region and implemented a ritual to make them come up and perform. The implementation of means that a direct monk's army procurement system leading to the central government-do-gunhyeon-sa Temple was established. At the end of this divisional system, there was a temple. At that time, the temple jointly owned the land, so the temple's Property was measured and receivedThe monk's military service through Local government..
    The direct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was strengthen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King Sukjong. However, with the rise of anxiety over the northern situation, the urban defense system was overhauled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e main fortress on the road to the outer capital city was also overhauled. Local finances became more difficult as local fortresses were built one after another and the demand for local Seunggun increased accordingly, while the Equilibrium Act was implemented. Therefore, the burden on the local government to raise the monk directly increased. Eventually, in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 Equilibrium Act, King Yeongjo abolished the existing The direct military service of a monk and implemented pay it in money in the provinces to promote Namhansanseong Fortress and Bukhansanseong Fortr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