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드슨 댄스 시어터: 예술과 놀이의 융합 (Judson Dance Theater: The Integration of Play with Ar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4.08
10P 미리보기
저드슨 댄스 시어터: 예술과 놀이의 융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미디어학 / 17권 / 3호 / 175 ~ 184페이지
    · 저자명 : 윤희원, 김희영

    초록

    이 논문은 완결된 예술작품에 대한 미적 평가를 중요시하는 모더니즘 미학에 비판적인 물음을 던지고, 창작 주체의 유희적인 행위를 통해 예술에 대한 경직된 이해를 극복하고자 했던 ‘저드슨 댄스 시어터’의 실험적인 작업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한다. 공동작업의 장으로서는 단명했으나 그룹이 해체된 이후에도 그들이 공유했던 예술에 대한 개방적인 이해는 개별 작가들의 다양한 활동으로 지속되었다. 신체의 움직임, 특히 놀이의 요인을 통해 예술과 삶의 거리를 좁히고 예술 장르 간의 경계를 허물고 창의적인 실험을 시도했던 저드슨 댄스 시어터 작가들의 실험적인 작업에서 관찰되는 유희적인 시도는 자유로운 창작을 모색해 가는 과정에서의 지속적인 저항의 몸짓이었다.
    저드슨 댄스 시어터의 예술가들은 예술과 삶 간의 관계를 회복하려는 실험정신을 개진하면서 일상적인 도시 공간에까지 활동의 장을 확장하여 놀이와 융합된 형태의 실험적 예술 활동을 지속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놀이의 요인을 예술적 작업에서 적극적으로 보여준 두 작가 트리샤 브라운(Trisha Brown. 1936-)과 시몬느 포르티(Simone Forti, 1935-)에 주목한다. 규칙성을 지닌 형식으로서의 놀이의 특성을 보여주는 브라운의 작업과 즉흥적인 구조로서의 놀이를 극대화한 포르티의 작품은 놀이의 요소를 포용함으로써 예술 장르 간의 경계를 허물고, 더 나아가 관람객의 자유로운 참여를 유도하여 놀이 공동체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열어놓았다. 이들의 실험은 전통적으로 예술창작이나 감상의 영역에서 열등하게 평가되어왔던 놀이의 요인을 긍정적으로 포용하여 작품의 의미와 감상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and art historical meaning of the experiments pursued by the progressive artists who were once involved in the Judson Dance Theater. While drawing on the element of 'play' in their work, the Judson Dance Theater artists challenged the Modernist aesthetic of the 1950s, which valued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art work. Despite the short lifespan of the group, its experimental spirits survived in various experiments of the artists. The element of play served the Judson Dance Theater artists as a fundamental source for their endeavor to reduce the gap between art and life, and to blur the boundaries between art genres, in their search for creativity. Thus, the playfulness in their work was crucial in their resistance against repressive dogma.
    The artists of the Judson Dance Theater expanded their work into space in everyday life and experimented with the element of play, thereby seeking to restore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life.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wo artists, Trisha Brown(b.1936) and Simone Forti(b.1935), whose work embodies improvisation and playfulness. Brown's work draws on play as a form with rule, while Forti's deals with play as an improvised structure. The two artists embraced the element of play as the substance of their work, thereby blurring borders between genres, encouraging spectator's subjective participation in their work, and forming an arena in which to share a sense of community in play. Their experimental work appreciates the element of play, which has been considered inferior due to its inability to form a substantial knowledge. By embracing play as a significant component, Brown and Forti have contributed to expand our horizons of artistic experience and ultimately to give a whole new meaning to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미디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