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일조선여성의 ‘마이너 필링스’와 대명사화된 ‘어머니’ : 재일조선여성 1세들의 문해교육과 글쓰기 (Minor Feelings of Zainichi Women and the Pronominalized “Mother” : The Literacy Education and Writings of First-Generation Zainichi Wome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2.08
38P 미리보기
재일조선여성의 ‘마이너 필링스’와 대명사화된 ‘어머니’ : 재일조선여성 1세들의 문해교육과 글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56호 / 12 ~ 49페이지
    · 저자명 : 신지영

    초록

    본 논문은 재일조선여성 1세들이 문해교육 과정에서 쓴 글 및 문해교육 경험을소재로 하여 쓴 글을 통해, 재일조선여성들이 식민주의와 가부장제 안에서 몸에 새길 수밖에 없었던 ‘마이너 필링스(minor feelings)’를 분석한다. 그리고 그녀들을 마이너 필링스에 빠지게 만드는 관계를 벗어나 다른 ‘공통성들(commons)’이만들어 낼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가를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재일조선여성들의 수기, 일기, 작문 등을 모아 놓은 방대한 자료집인 『在日朝鮮女性作品集: 一九四五~八四. 1~2』 중 재일조선여성 1세가 문해교육을 받고 글을 쓰는 과정이 나타난 수기, 일기, 에세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글들을‘자기서사공통장텍스트’라고 개념화한다. 재일조선여성들이 글과 글쓰기를 배우는 과정이 그녀들을 둘러싼 중층적 관계를 통해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너 필링스’는 가장 친밀한 관계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이고 미묘한 인종주의적 폭력인 ‘마이크로 어그레션(Microaggression)’에 의해 심화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재일조선여성들이 어떻게 이러한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었는가를 살펴본다.
    첫째로 재일조선여성들이 문해능력을 획득하고 글쓰기를 욕망하게 되는 과정을, 문해교육 경험을 담은 글이 ‘생애사적 글쓰기’의 특징을 지녔다는 점과 관련시킨다. 이 생애사적 글쓰기의 특질을 통해, 어떻게 여성들이 ‘마이너 필링스(자기비하, 자기혐오, 수치심, 수동성)에서 벗어나 글쓰기를 욕망하는 주체로 변화하는지를 살펴본다. 둘째로, 문해교육과 글쓰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가적 욕망—1)기존 가부장제적 관계 속에서 인정받으려는 욕망, 2)여성들 사이의 새로운 자율적 공통장을 만들려는 욕망—사이의 다이나믹한 갈등을 포착한다. 이 과정에서 ‘어머니’라는 호칭이 어떻게 재일조선여성들의 다층적인 위치와 관계를나타내는 말로 새롭게 맥락화되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처럼 본 논문은 재일조선여성의 ‘자기서사공통장텍스트’를 기반으로, ‘마이너 필링스’와 ‘마이크로 어그레션’에 취약한 두 가지 위치인 ‘유색인종’과 ‘유민여성’을 연결시켜 보기 위한 시론적 작업이다. 이를 통해 ‘한국/한국인/한국여성’이라는 위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마이너 필링스’을 통해 지속되는 복합차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여/성들의 공통장을 모색하려고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minor feelings” that Zainichi women had to internalize in colonial and patriarchal systems through an examination of writings by the first generation of Zainichi women, who wrote about their experiences of literacy education. Additionally, I also identify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that helped facilitate ways of “being in the commons” and breaking away from relationships in which the Zainichi women fell into minor feelings.
    This analysis focuses on memoirs, diaries, and essays contained in volumes one and two of Collections of Works by Zainichi Women: 1945-84. In these writings, these women display their desires and motivations to learn how to write, the hardships and suffering they experienced in their family lives in the colony, and the feelings they had to confront. In this paper, I define such writings as “communal-autobiographical narratives” that demonstrate the relentless learning processes Zainichi women had to go through in multi-layered relationships. Moreover, I pay attention to the ways that minor feelings were intensified by microaggressions, which were acts of subtle racist violence committed particularly in close and intimate relationships. Further, I attempt to examine how Zainichi women controlled their minor feelings.
    First, Zainichi women’s writings vividly describe how they were driven to learn to read and, in turn, write about their lived experiences. Thus, I argue that they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echo documentary writings, or personal life histories.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writing, I analyze how women detached themselves from minor feelings (self-belittlement, self-hatred, shame, and passivity) and become subjects who desire to write. Second, I discuss the dynamic conflicts between ambivalent desires— that is, the desire to gain recognition in existing patriarchal relationships and the desire to create a new autonomous communal society of their own. I examine how the term ŏmŏni, meaning “mother,” was newly contextualized as a word that represents the multi-layered hierarchy Zainichi women belong to and, at the same time,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Zainichi women themselves.
    Therefore, based on the communal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Zainichi women,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ttempt to seek new ways of connecting the positions of Zainichi women in Japan with those of other immigrant women of color, all of whom are vulnerable to minor feelings and microaggressions.
    In addition, I attempt a short yet critical study of the discrimination some Korean people made against immigrants from Asian countries or other third-world countries. Moreover, I suggest a possible method for eliminating the complexity of discrimination by seeking for commonality or a commons between human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