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생건축 카페 서비스스케이프의 MZ세대 소비자 경험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카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eneration MZ's Consumer Experiences with Servicescapes of Adaptive Reuse Caf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adaptive reuse cafes and franchise cafes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3.08
14P 미리보기
재생건축 카페 서비스스케이프의 MZ세대 소비자 경험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카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97 ~ 110페이지
    · 저자명 : 심가인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노후화된 건축물을 카페와 같은 상업시설로 성공적으로 재생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 사례들이 늘고 있으며, MZ세대들은 이러한 장소를 핫플레이스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생건축 카페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MZ세대의 인지적, 감성적 경험이 만족과 SNS 공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검증하여 소비자의 사용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건축 카페의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MZ세대의 재생건축 카페와 프랜차이즈 카페에 대한 서비스스케이프 소비자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3개월 이내 재생건축 카페와 프랜차이즈 카페 방문 경험이 있는 20~30대 MZ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T-test, 타당도 분석, 회귀분석, 및 모형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 문제는 재생건축 카페와 프랜차이즈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소비자 경험의 차이,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소비자 경험이 만족도와 SNS 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영향이 카페 유형(재생건축 카페/프랜차이즈)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결과) 첫째, 재생건축 카페를 이용한 MZ세대가 프랜차이즈 카페를 이용한 그룹보다 재생건축 카페에 대해 오락성, 진귀성, 비일상성을 더 강하게 느꼈으며 SNS 공유행동 또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경험이 만족과 SNS 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요인은 심미성과 비일상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카페 유형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재생건축 카페에서는 소비자의 감성적 경험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더욱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재생건축 카페의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 전략 방향은 획일화된 프랜차이즈 카페에서는 느낄 수 없는 이전 시설의 원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재생건축을 활용하여 원형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동시에 건축가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험한 공간들로 시각적인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SNS을 통해 경험을 활발하게 공유하는 MZ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 자체를 하나의 작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이미지화가 가능한 건축 공간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old, deteriorated buildings are being recycled into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cafes, creating economic value. These types of places are perceived to be hot places by Generation MZ. This study aimed to specifically test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s with servicescapes of adaptive reuse cafes on the satisfaction and sharing behavior on social media of Generation MZ and proposed servicescape design direction of adaptive reuse cafes to enhance the experiences of its users. (Method) To understand the consumer experiences with servicescapes between adaptive reuse cafes and franchise cafes of Generation MZ,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members of Generation MZ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that had an experience with visiting an adaptive reuse cafe and a franchise cafe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Collected data was put in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valid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odel test.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nsumer experiences between adaptive reuse cafes and franchise cafes, the effects of consumer experiences with servicescapes on their satisfaction and sharing behavior on social media, and differences in such effects according to the cafe type (adaptive reuse cafe/franchise cafe). (Results) First, the members of Generation MZ who used a cafe in adaptive reuse felt the entertainment, rarity, and non-dailiness of the adaptive reuse cafes more strongly and showed more sharing behavior on social media than those who used a franchise cafe. Secondly, the core factors in the effects of consumer experiences on satisfaction and sharing behavior on social media were aesthetics and non-dailiness. Finally, the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fe type and found that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consumers were more important as factor to have effects in adaptive reuse cafes. (Conclusions) These analysis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vide experiences with the original form of the previous facility, not available at uniform franchise cafes when setting a servicescape design strategy for adaptive reuse cafes. There is a special need to offer visual attractions with spaces that experimented with the diverse ideas of the architect while preserving the identity of the original form through regenerative architecture. Then it is required to plan an architectural space capable of visual imaging so that Generation MZ can recognize the building itself as a piece of work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ctively on social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