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운드스케이프 이론을 통한현대 애니메이션 영화의 사운드 창작-단편 애니메이션 <Jibaro>를 중심으로- (Contemporary Animated Film Sound Creation from Soundscape Theory –Taking the Animated Short Film “Jibaro” as an Exampl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5.03
22P 미리보기
사운드스케이프 이론을 통한현대 애니메이션 영화의 사운드 창작-단편 애니메이션 &lt;Jibaro&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8호 / 365 ~ 386페이지
    · 저자명 : 리웨이, 이종한

    초록

    디지털 사운드 기술의 광범위한 응용에 따라 창작자의 사운드 제작 수단이 매우 풍부해졌을 뿐만 아니라 사운드 공간 구축 기능이 크게 향상되어 관객에게 더욱 몰입적인 영화 체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영화 환경의 사운드 구조는 여전히 2차원의 평면 영역으로 제한되어 있고, 이러한 청각적 환각을 바탕으로 하는 공간적 사운드 필드(sound field)의 재현 방식은 영화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와 여전히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디지털 사운드 기술의 지원을 통해 영화 주변 사운드의 공간적 구성이 전통적인 2차원 평면 구조를 어떻게 능가할 수 있을까요? 주선율음, 신호음, 음성음의 세 가지 요소의 협업 메커니즘이 사운드스케이프 이론의 재해석을 통해 3차원 청각 공간의 3차원적 재구성을 달성할 수 있을까? 따라서 사람과 영화의 환경 사운드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창작자의 시각으로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이론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조음(keynote sound), 신호음(signal sound), 표식음(sound mark)이 영화의 환경 사운드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주요 요소라는 것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진실한 사운드를 기반으로 기조음이 사운드의 그라운드(Ground)가 되어 다양한 청취 지점(point of audition)을 가진 영화의 환경 사운드를 구성하고, 신호음과 표식음은 사운드의 피규어(Figure)가 되는 동시에 영화 속 인물과 영화 외부 관객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운드트랙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영화의 환경 사운드트랙을 분해하고 주류 사운드 요소를 식별한다. 또한 기존 연구와 결합하여 창작자와 관객의 이중 관점에서 사운드 디자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사례 분석과 사운드 콘텐츠 분석을 결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단편 애니메이션 <Jibaro>를 사례로 애니메이션 환경 사운드 디자인에서 이 3가지 사운드 요소의 실제 적용과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정확한 영화의 환경 사운드 디자인은 애니메이션 영화의 몰입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사운드 사건을 활용하여 배우와 관객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영화에서 환경 사운드 디자인에 대한 절제는 미세한 사운드에 대한 관객의 관심 유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영화의 사운드 창작 수준을 향상시켜 관객이 애니메이션 영화의 스토리 세계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With the wide application of digital sound technology, sound creators have been greatly enriched in the means of arranging sound, and the function of sound space construction has been significantly enhanced, bringing a more immersive movie experience to the audience.However, the architecture of cinematic environmental sound is still confined to a flat two-dimensional spatial domain, and this way of reproducing spatial sound fields based on auditory illusion is still far from people’s fantasies about movies. How ca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ambient sound of a film surpass the traditional two-dimensional flat structure with the support of digital sound technology? Can the collaborative mechanism of the three elements of the main melody, signal tone, and voice tone achieve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auditory space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the soundscape theo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film ambient sound.To this end, this paper, from the creator’s perspective, based on soundscape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experience, clarifies that tone, signal tone and marker tone are the three main elements affecting the presentation of film environment sound, and based on the real sound, proposes that tone can be used as the sound base to construct the film environment sound at different listening points, and that signal tone and marker tone can be used as the sound map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and the audience outside the fil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uses soundtrack analysis methods to decompose the environmental soundtrack of a film and identify the main sound elements. It also explores the impact of sound design on immersion from the dual perspectives of creators and audiences, combining with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combines case studies and sound content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the animated short film Jibaro is taken as an example to specifically analyz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three sound element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in animated film environment sound design,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and then summarized as follows: 1. Accurate film environment sound design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immersion of animated films. 2.
    The use of sound events is used to direct the attention of both the actors and the viewers. 3. The moderation of the film environment sound design contributes to the viewer’s attention to subtle sounds.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artistic standard of sound creation in animated films so that viewers can become more immersed in the story world of animated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