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 H.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에 대한 사학사적 검토 (A Historiographical Study on ‘the Theory of the Twelfth-Century Renaissance’ of C. H. Haskin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4.12
37P 미리보기
C. H.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에 대한 사학사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30호 / 287 ~ 323페이지
    · 저자명 : 박민아

    초록

    20세기 초 미국의 혁신주의가 현저히 모습을 드러내고 그 중심에는 윌슨주의가 팽배해 있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해스킨스는 현실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역사가였다. 1927년에 출간된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는 미국이 강대국으로 성장해나가는 전환기적 시대 흐름 속에서 요구되었던 강력한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이었다. 해스킨스가 『12세기 르네상스』에서 강조하였던 지식인들의 대두, 관료제와 중앙집권화의 시작, 대학의 형성은 오늘날 근대국가가 탄생하게 된 지적 배경이 되었다. 해스킨스는 12세기 유럽의 지적 혁명과 제도적 변화들을 20세기 미국의 강력한 국가 만들기를 위한 발전 모델로 인식했던 것이다.
    『12세기 르네상스』로 대변되는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중세에 대한 근대적 의제를 고취시킴으로써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중세의 근대성을 강조했던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미국 중세사 분야에서 중세주의적 해석의 전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 중세사가 학문으로서 저변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중세사 연구의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해스킨스가 ‘12세기 르네상스론’을 주장한 배경은 중앙집권적 국가 모델이 되었던 12세기 유럽에서 20세기 미국의 역사적 교훈을 얻고자한데 있었다. 말하자면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중세가 없는 젊은 국가 미국의 역사적 기원을 12세기 중세 유럽의 역사를 통해 이어받고자 했던 것으로 목적론적・현재주의적 역사관이 반영된 해석이었다.

    영어초록

    During that period of pervasive Progressivism and Wilsonism in America, Haskins was a historian who participated actively in realistic politics. Haskins argued against Jacob Burckhardt’ assertion that the Italian Renaissance started in the 14th and 15th century by insisting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While America was growing as ‘the Great Powers’,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which was published in 1927, was the product of a powerful political ideology. Haskins acknowledged that an intellectual revolu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were essential for the 12th century of Europe development model to make 20th century America the Great Powers. According to Haskins, the birth of a modern state on those times was based upon intellectual backgrounds, such as the appearance of intellectuals, the beginning of bureaucracy and centralization, the formation of the university which Haskins emphasized in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The theory of the 12th-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to stress the modernity of the Middle Ages is recognized as the archetype of the interpretation of Medievalism. During that period Haskins expanded the base of learning into Western Medieval History through it, his theory also laid the foundation of studies of Medieval History.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is full of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y inspiring the agenda of modernity.
    But the background to claim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is to learn a historical lesson by taking up 12th Europe as the model of a centralized state. Again, Haskins hoped America, which was absent the Middle Ages, to succeed the 12th century history of Europe. That is to say,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is reflected in his teleological-realistic historical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