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코, 스칼비니, 젱크스의 비교를 통한 건축기호모델 연구 (Study of Semiotic Architectural Model by Comparision of Eco, Scalvini and Jenck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4.03
29P 미리보기
에코, 스칼비니, 젱크스의 비교를 통한 건축기호모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38권 / 301 ~ 329페이지
    · 저자명 : 황영삼

    초록

    본 연구는 건축기호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에코, 스칼비니, 젱크스의건축기호모델의 특성을 비교하고 이로부터 향후 건축기호모델의 개발방향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교를 위한 논거로서는 세 모델이 공통적으로 채택하는 ‘외시-내포’의 일반기호학적 형식틀에 건축의 내용적 특성을 대응시키는 방식에 있어서의 차이점들, 그리고 MST 이론에서 제시된 구조화를 위한 모델링 방법론 관점에서의 차이점들의 비교를 적용하였다.
    먼저 세 모델에 대한 비교검토 결과 외시-내포 원리를 근간으로 하는 단위모델의형식틀은 동일하지만, 외시면과 내포면 각각을 채우는 건축적 내용이 달랐고, 그결과로 나타나는 단위기호들 간 관계망 모델, 모델의 구조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에코의 모델은 형태론적 모델이고, 스칼비니의 모델은문학적 모델이며, 젱크스의 모델은 절충적 비평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MST 이론의 기호모델링 방법론 관점에서의 비교에서도 폭넓은 차이점들이 나타났다. 먼저단일체, 복합체, 코드체, 비유체로 구분되는 기본적 형식요소를 다루는 범위에서차이가 나타났고, 1차성, 2차성, 3차성으로 구분된 형식요소들 간 위계성에 따라기호성이 고도화되어 가는 방식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모델의 구조화 방식에 있어서 수사 층위를 다루는 방식과 범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후반부에는 향후 건축기호모델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여기에는일반기호학 원리만으로는 모델에 포함되지 못하는 건축분야 고유의 학문범위에 대한 내용적 형식요소와 그에 대한 형식틀을 도출해내는 작업, 그리고 세 모델들의지향점과 장단점을 포괄할 수 있는 상위 메타모델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semiotic architectural model. In this resech, comparison between Eco, Scalvini and Jencks, leading architectural semioticians, has be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research directions towards the semiotic model for architectural design. The MST theory advocated by Sebeok and Danesi is employed as the basis of logical argument.
    Comparison of the models by the three semioticians has resulted as follows. The dichotomy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is commonly adopted by the three models, but differ in most comparisons checkpoints from unit modeling to relationship modeling, resulting in differing model structures. Briefly, Eco's is a morphological model, Scalvini's is a literary model, and Jencks's is a criticism model.
    Several research direction have been suggested. First, different formal model constituents need to be identified which are to be organized into a relationship network. The MST theory will be helpful for this purpose, with its ways of categorizing model constituents and for relationship networking. It suggests two main categories of model elements: singularized, composite, cohesive, connective models; and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models. Sign features go level up through these hierarchies.
    Secondarily, a way of model structuring has been suggested. Model can be structured by three layers: paradigm-syntagma layer, denotation-connotation layer, and rhetoric level, for the purpose of manipulating both physical and abstract features of architecture.
    Thirdly, a new way of modeling should worked out additionally to cover architecture specific tasks which are not resolvable in the current semiotic model. This new requirement comes up for the reason that not all architecture features can be covered up by the current general semiotic modeling methodology, whose capability is restricted to the areas of denotation-connotation, and paradigm-syntagma principles.
    Finally, a hyper level meta model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features and perspectives of those three models reviewed in this research. The new model should also be comprehensive enough to invite the current semiotic modeling methodologies as well as the one for the architecture specific model mentioned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