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브랜드스케이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scaping Characteristics of Maison Flagship Stor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2.02
14P 미리보기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브랜드스케이핑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1호 / 107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목영, 정재윤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소비자는 감성적 경험과 삶의 가치 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기의 개성과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형태의 소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업은 오프라인 공간을 통해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특별한 공간을 제공하여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브랜드의 가치표현과 감성체험을 할 수 있는 브랜드 공간을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스케이핑의 필요성과 효율적인 공간 브랜딩 전략으로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에 나타난 브랜드스케이핑에 표현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 확장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 사례분석을 위해 현장 방문을 토대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스케이핑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에 관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브랜드스케이핑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특성요소가 어떤 형태로 표현되어 적용되고 있는지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선정하여 사례분석하여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를 브랜드스케이핑 특성으로 사례분석 한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과 관련된 정체성, 장소성, 전통성은 균형편차가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매장 규모와 공간구성에 따라 유희성, 결합성, 조형성은 균형의 편차가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는 각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가치와 아이덴티티는 다르지만 공간 디자인을 통하여 고객에게 라이프스타일 제안을 전제로 하며, 독특한 체험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브랜드스케이핑이 적용된 메종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가치를 알리고 고객에게 자사 카페 체험, 이벤트, 서비스, 전시관람, 공연 등의 브랜드스케이핑의 공간연출을 적용하여 감성적 가치소비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는 공간 디자인을 통해 브랜드의 정체성을 극대화 시키고 건축물이나 내부공간의 차별화된 공간연출로 조형성을 나타내어 랜드마크라는 장소성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브랜드의 공간은 다양한 체험공간과 문화예술 전시, 카페, 라이프스타일 등이 결합된 형태로 공간을 구성하고 있었다. 넷째, 공간 디자인은 매장의 전체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명확한 컨셉을 계획하여 그에 맞는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consumers valu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realization of the values of their lives, while prioritizing their characters and satisfaction. Pursuant to these changes, companies are now using offline locations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and provide special spaces and differentiated services. These brand spaces act as a means to establish brand identities, where they can value expressions and allow emotional experiences as a part of their marketing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eed for brandscaping and examine its expressive characteristics as an effective space branding strategy, which coul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expansion of the Maison flagship store. (Method) The study used literature review and field visits as case studies for conducting the research. Using existing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caping and the Maison flagship store were identified. Luxury fashion brands were select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o perform case analyses to determine how these six elements were expressed and applied. (Results) The case analyses of the br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Maison flagship store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balance regarding the identity, venue, and tradition related to brand identity and space were small. Howev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hop and spatial layout, the differences in the balance of entertainment, combination, and form were high. As such, the values and identities sought by the Maison flagship store for each brand were different. However, the proposal of lifestyles was used as the premise across the design of the space, and the services and various experiences were used to differentiate competing brands. (Conclusion) The Maison flagship store was found to induce emotional value consumption by informing consumers about the value of the brands and providing company cafes, events, services, performances, and other spatial staging techniques of brandscaping. The flagship store maximized the identity of the brand through spatial design and provided differentiated interior spaces of buildings so that they could serve as landmark venues. The brand space was a combined space that contained various experiential spaces, cultural and art exhibitions, cafes, and lifestyle spaces in which the spatial design created the overall image of the shop.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pace based on a clearly defined conce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