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빌리티 스케이프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사례 연구 (Case Study on Digital Signage Utilizing Mobility Scap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1.02
12P 미리보기
모빌리티 스케이프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1호 / 371 ~ 382페이지
    · 저자명 : 박정아, 이유빈,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이동에 대한 인간의 활동은 그 범위가 점차 다양해지고 글로벌화 됨에 따라 이를 위한 시스템들이 발달하고 있다. 연구의 배경으로 모빌리티의 현대적인 현상에 주목하여 이동과 경관의 복합어로 불리는 모빌리티 스케이프 환경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가진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최근 규정 일변도였던 옥외광고물 관리법 방향이 진흥으로 전환되고 이를 법적으로 인정하면서 테크놀로지 발달과 함께 시장 발전 속도가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동과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현대인들의 생활에 새로운 시공간으로서 모빌리티 스케이프를 통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역할을 조명하고, 디자인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동하는 존재로서의 호모 모빌리쿠스라 불리는 인간이 문자, 영상, 이미지 등에 의한 사물인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계하는 환경에 주목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의 풍경으로 불리는 모빌리티 스케이프가 정의되는 특성을 시대적 흐름과 함께 알아본다. 둘째, 모빌리티가 가지는 스케이프적 요소를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대표 특징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셋째, 모빌리티 스케이프가 발생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최근 사례를 통해 발견한 쟁점들을 이끌어 낸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모빌리티 스케이프 타입 요소를 통해 향후 디자인적 활용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사인화 된 정보를 나타내고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공간이 구성되고 활용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디지털 사이니지 대표 요소로 명소적 요소, 정보적 요소, 공익적 요소, 광고적 요소, 유희적 요소로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과거 이동의 풍경으로 평면 패널, 시트, 정보 전달자에 의한 일방 소통이 주를 이루었다면, 현대는 이동 장소, 이동 통로, 부동형의 고정 장소의 세 가지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 형태로 정보제공 컨텐츠의 가변화가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스마트 월, 지능형 미러, 벽·기둥에 디지털 키오스크와 스마트 무빙워크 등 다양한 디지털 사이니지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바이다. (결론) 모빌리티 스케이프는 이동 중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며 이동과 정주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는 수용자의 욕구에 적합한 시점에 전달되었을 때 수용력이 높아진다. 스마트폰과 SNS 등을 활용한 융합 기술이 점차 등장하고 있으며, 단지 이동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동하는 풍경을 통해 무엇이 변화하며, 우리 일상이 어떻게 시스템과 소통되고 있는지의 이해가 필요하다. 최근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다양한 보급을 통한 설치비용 등의 경제성에 대한 전략적 방안 또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공간 현상의 확장 개념으로 사유하여 모빌리티의 스케이프적 요소를 활용한 새로운 환경의 디자인적 이슈에 관심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xtent of human mobility has diversified and globalized, the system of mobility is also evolving. Based on this modern phenomenon of social mobility, research regarding the mobility landscape environment, which is a combination of movement and landscape, needs to be conduc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direction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Management Act has shifted toward promotion, and the market is expanding as digital signages are legally approved. This study elaborates on the role of digital signages through mobility scape, which is composed of mobility and network, as a new space-time in the lives of modern people,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how this is expressed through design.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humans as moving beings, referred to as Homo Mobilicus, relate to digital signages that are comprised of letters, videos, and images.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landscape, which is described as the landscape of movement,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Second, this study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s into five categories. Third, it discusses the issues discovered through the recent cases of digital signage where mobility scape has been created. Lastly, based on the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that can be used for future designs through mobility-scape type elements in a digital-based environment. (Results) This study establishes that digital signage does not stop at merely delivering information but also affects the way it is constructed and utilized in space, cognition, imagination, and practice. The representative elements of digital signages are attraction, information,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and entertainment. Unlike the past, where one-way commun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flat panels, sheets, and information carriers, new factors such as space, passages, and fixed locations, are now considered to be important, as well. This indicates a tendency to change information providing content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digital signage forms such as smart walls, intelligent mirrors, digital kiosks on walls and columns, and smart moving walks. (Conclusions) Mobility scape is a space where movement and settlement coexist, and the behavior during movement is considered important. The impact of messages communicated through digital signage increases when delivered at a time available for the needs of the audience . With the growth of conversion technologie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through the movement-oriented landscap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conomically feasible plan, such as installation cost through various dissemination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 Future studies should focus attention on the design issues of a new environment that utilizes the landscape elements of mobility by considering it as an expansion of the spatial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