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한부 홍콩 소녀와 저가 극장의 하위문화 정동 - 홍콩영화 ≪스잔나≫와 ≪사랑의 스잔나≫의 한국 반향과 문학적 변용 (Terminally Ill Hong Kong Girl and Subculture Affect in Low-Cost Cinema - Sensation and Literary Utilization of Hong Kong Movies Susanna and Chelsia My Love in S. Ko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3.12
35P 미리보기
시한부 홍콩 소녀와 저가 극장의 하위문화 정동 - 홍콩영화 ≪스잔나≫와 ≪사랑의 스잔나≫의 한국 반향과 문학적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논총 / 82호 / 105 ~ 139페이지
    · 저자명 : 장동천

    초록

    The Hong Kong melodrama Susanna(珊珊, 1967) and Chelsia My Love(秋霞, 1976), which created the 'Susanna' craze, succeeded at the box office and caused much buzz in S. Korea. Not only that, these movies are still enjoyed as nostalgic items for the baby boomers these days, more than 40 years later. After baby boomers met with Internet culture, they created fan cafes for the main actors, and content through blogs and OVP that recall movies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long before these activities of the general public appeared, the two movies were used in various ways as literary signs, through being cited in profound literary texts by professional writers. This is a very unusual case among many Chinese-language movies imported into S. Korea.
    In this study, I will look at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two movies introduced to S. Korea from various angles and analyze the causes and aspects of the cultural effect these movies have caused to the youth in a politically and socially rigid situation. Furthermore, I will explo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literary works such as Lee Soon-won, Shin Kyung-sook, and Yoo Ha, summoning these movies later in memory. Through a series of context studies,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ultural memory that Hong Kong's melodrama formed in S. Korea's postwar baby boom generation as a subculture of the youth in the gap between the oppressive social atmosphere and the trend of American consumption culture.

    영어초록

    The Hong Kong melodrama Susanna(珊珊, 1967) and Chelsia My Love(秋霞, 1976), which created the 'Susanna' craze, succeeded at the box office and caused much buzz in S. Korea. Not only that, these movies are still enjoyed as nostalgic items for the baby boomers these days, more than 40 years later. After baby boomers met with Internet culture, they created fan cafes for the main actors, and content through blogs and OVP that recall movies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long before these activities of the general public appeared, the two movies were used in various ways as literary signs, through being cited in profound literary texts by professional writers. This is a very unusual case among many Chinese-language movies imported into S. Korea.
    In this study, I will look at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two movies introduced to S. Korea from various angles and analyze the causes and aspects of the cultural effect these movies have caused to the youth in a politically and socially rigid situation. Furthermore, I will explo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literary works such as Lee Soon-won, Shin Kyung-sook, and Yoo Ha, summoning these movies later in memory. Through a series of context studies,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ultural memory that Hong Kong's melodrama formed in S. Korea's postwar baby boom generation as a subculture of the youth in the gap between the oppressive social atmosphere and the trend of American consumptio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