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인훈의 인용, 『화두』의 메타모르포시스(Metamorphosis) (Choi In-hun’s Quotation, Hwadu(화두)’s Metamorphosi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9.10
40P 미리보기
최인훈의 인용, 『화두』의 메타모르포시스(Metamorphosi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79호 / 125 ~ 164페이지
    · 저자명 : 배지연

    초록

    이 논문은 『화두』에 제시된 다양한 텍스트들이 독자의 입장에서 다시쓰기 되고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화두』의 인용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에 앞서 『화두』 에서 ‘화두’로서 강조되는 생물학적 발생 개념을 의식 및 언어에 적용한 ‘의식의발생학’으로서 소설 쓰기로 등치하는 과정에 주목하고, 『화두』에 인용되는 주요 텍스트들을 발생학적 차원, 즉 계통발생 및 개체발생의 반복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화두』에서 가장 반복적으로 인용되는 조명희의 「낙동강」의 인용양상을분석하고, 『화두』의 서사 자체가 「낙동강」의 계통발생을 되풀이함으로써 『화두』라는 개체 발생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질적인 텍스트가 산만하게 배치된 것으로 보이는 『화두』가 「낙동강」을 통해 ‘이질적인 것들의 종합’을 시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낙동강」을 읽고 다시쓰기 하는 독자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재구할 수 있었다.
    한편, 『화두』에는 최인훈이 이전에 발표한 텍스트들이 호출⋅인용되고 그에 대한 메타이야기가 서술된다. 이러한 시각에서 『화두』에 가장 중심적으로 인용되는 두 텍스트(「옛날옛적에 훠어이 훠어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를 분석했고, 이 두 텍스트를 인용하고 다시쓰기 하는 과정이 변이된 개체발생(메타모르포시스)의 반복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화두』는 이질적인 텍스트들과 담론들이 화자의 균열된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들이 특정한서사적 구조를 통해 통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화두』의 메타모르포시스의 개념이 30년 전에 발표된 「회색인」에서출발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회색인」과 『화두』의 간극을 통해 두 소설에서 사용되는 ‘메타모르포시스’의 개념 또한 메타모르포시스(변이)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서구의 것이 아니라 조상과 ‘한국적인 것’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회색인」에서 실패로 머물렀던 ‘메타모르포시스’의 가능성이 비로소 『화두』에서는 ‘가능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두 소설 사이의 시간들에 내재된 변이의 과정들은 보다 면밀하게 논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on the citation patterns of Hwadu(화두), with attention that the various texts presented in Hwadu are being re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ader. Prior to this, the paper noted the process of equating the concept of biological occurrence, which is emphasized as a ‘topic’, to novel writing as the ‘genetics of consciousness’ applied to consciousness and language. and the main texts cited in the Hwadu were analyzed at embryological dimension, i.e. in terms of phylogenesis and repetition of individual occurrence.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citation of Nakdong River(낙동강), which is the most repeatedly cited form of Hwadu, and studied on the fact that the narrative of Hwadu itself shows the process of the occurrence of the Huadu by repeating the phylogenesis of the Nakdong River. In the process, the Hwadu, which appears to have been distracted by disparate text, attempted to ‘summit disparate things’ through the Nakdong Riv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readers’ world of reading and rewriting Nakdong River in their own way is showing the readers’ world.
    Meanwhile, Choi In-hoon’s previously published texts are called in Hwadu and meta-story is written about them.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nalyzed the two texts most commonly quoted in Hwadu, the citation and rewriting patterns of these two texts are suggested to be the repetition of varied individual occurrence (metamorphosis). Through this discussion, Hwadu is showing that disparate text and discourse can unite the narrative’s cracked past, present and future times through a single story.
    This paper notes that the concept of metamorphosis, which is presented as important in Hwadu is starting from Hoisaein(회색인), published 30 years ago,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wo novels, he emphasized that the concept of ‘metamorphosis’ used in the two novels is also becoming metamorphosis. In Hoisaein(회색인) the possibility of Metamorphosis, which had been a failure, is presented as possibl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one finds one’s identity with one’s ancestors, not with the West in Hwadu. In this regard, the processes of variation inherent in the time between the two novels need to be discussed more closel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