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어에르바흐와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 의식에 관한 비교적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Religious consciousness in Feuerbach and Schleiermache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08.06
40P 미리보기
포어에르바흐와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 의식에 관한 비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41호 / 39 ~ 78페이지
    · 저자명 : 김영복

    초록

    과연 종교의 본질은 무엇인가? 서양 문명사에 있어서 19세기는 위의 질문에 많은 사람들이 답을 시도하였던 소위 종교론이 만개하였던 시대였다. 본 소고는 그들 중에 대표적인 두 사람, “현대 신학의 가시”로 불리우는 포어에르바흐와 “현대 신학의 아버지”로 칭송되는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 의식을 상호 비교 고찰함으로써 위의 질문에 답을 시도하고자 한다. 포어에르바흐는 형이상학적 종교 이해의 허구성을 질타하면서 종교의 본질을 인간의 내면의 무한한 본성 안에서 발견한다. 신의 초월적 가치가 아니라 인간의 초월적 가치를 그의 종교 의식 속에서 전개한다. 그에게 있어서 신은 더 이상 존재론적으로 실재하는 초월적 존재가 아니라 인간의 소외된 본질을 천상에 투사시킨 투사물에 불과하다. 포어에르바흐는 그의 종교 의식 속에서 전통적 형이상학적 이원론의 사유체계 속에서 철저히 소외되었던 인간의 본성과 가치를 새롭게 재조명해 준다.
    슐라이에르마허는 종교의 본질을 정의함에 있어서 형이상학적이고 도덕적인 사유체계를 거부한다는 관점에서 포어에르바흐와 궤를 같이 한다. 그러나 슐라이에르마허는 포어에르바흐를 넘어서 종교의 허구성이 아닌 오히려 종교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한다. 그것은 인간의 내면의 자리에서 경험하는 무한자에 대한 맛과 느낌이다. 즉 슐라이에르마허는 자신의 존재의 근원이 되는 우주 그 자체와의 만남을 통한 황홀한 경험 안에서 종교의 본질을 발견한다. 유한자로서의 인간은 무한자에 대한 느낌과 맛을 통해서 무한자와 소통하며 유한자 안에서 무한자를 경험하는 주체로 새로 탄생한다. 인간 본성의 가치를 소외시키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신의 초월적이며 내재적인 가치를 긍정한다는 점에서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 의식은 그 가치가 높다 하겠다.
    본 소고는 다음의 몇 가지 논의 과정을 통해서 어떻게 포어에르바흐와 슐라이에르마허가 위의 자신들의 종교 의식을 전개해 나갔는지 살펴본다. 두 사람의 시대적 차이가 아닌 사상적 차이를 감안해서 포어에르바흐의 신 의식과 종교 의식을 매 장에서 먼저 고찰한 후 슐라이에르마하의 신 의식과 종교의 의식을 그 다음에 비교적 차원에서 해석해 나갈 것이다. 그런 후 본 소고는 결론 부분에서 두 사람의 종교 의식의 핵심적 부분들을 정리 및 평가할 것이다.

    영어초록

    What is the essence of religion? In the 19th century, many western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had asked the question and tried to answer it.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question,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both Ludwig Feuerbach (1804-1972) who is called "a thorn in the flesh of modern theology" and 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2) who is called "the father of modern theology" in a comparative way.
    Feuerbach rejects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God based on metaphysical and dualistic thoughts because it has alienated a human being himself from his nature which has the infinite potentiality. Feuerbach reinterprets the value of a human nature as a human being who has the so-called "species consciousness (Gattungsbewusstsein)." Feuerbach claims that the idea of God comes from a projection of human's own essential nature, namely, "an imagined objectivity." This means that the essence of religion is "the immediate, involuntary, unconscious contemplation of the human nature as another, a distinct nature." In this sense, Feuerbach understands the essence of religion within the human nature itself.
    Schleiermacher renounces the metaphysical and moral approaches i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religion in the claim that religion is "the sensibility and taste for the infinite." Schleiermacher defines the essence of religion as intuition and feeling for the infinite, which is beyond metaphysics and morality. However, Schleiermacher, unlike Feuerbach, distinguishes deity from human nature through m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uited and the one who intuits because all intuition comes from an influence of the intuited on the one who intuits. Schleiermacher also articulates the term feeling(Gefühl) as a kind of religious feeling or pious feeling which means that we feel ourselves absolutely dependent upon God. Schleiermacher interprets it as the "modification or mode of determination of immediate self-consciousness." In this sense, Schleiermacher discovers the essence of religion in the particular experience of the encounter between the human nature and the divine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