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성학 방법론 탐구: 산드라 슈나이더스(Sandra M. Schneiders)를 중심으로 (Exploring Methodologies for Christian Spirituality: Focusing on Sandra M. Schneider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4.09
31P 미리보기
영성학 방법론 탐구: 산드라 슈나이더스(Sandra M. Schneiders)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77권 / 297 ~ 327페이지
    · 저자명 : 최승기

    초록

    산드라 슈나이더스는 영성학 방법론 구축에 큰 공헌을 했다. 그녀의 영성학 방법론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보다 견고하고 적절한 영성학 방법론 구축에 중요한 디딤돌이 된다. 그녀의 영성학 방법론은 해석학적 방법론, 학제간 방법론, 자기-참여적 방법론이 있다. 그녀의 해석학적 방법론은 서술의 국면, 비판적 분석의 국면, 건설적 해석의 국면으로 구성된다. 그녀의 학제간 방법론은 영성학 연구에 참여한 여러 학문들을 두 개의 층으로 구분한다. 하나는 구성적인 학문 분야이고, 다른 하나는 문제를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성서와 교회사가 구성적 학문 분야에 속하고 신학은 구성적 학문 분야에도 속하면서 문제를 다루는 학문 분야에도 속한다. 그녀는 영성학 연구가 연구자의 유비적 체험이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이점에서 영성학 연구는 자기-참여적이다. 자기-참여와 연구의 객관성 확보 사이의 적절한 경계를 찾는 것은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영어초록

    Sandra Schneiders's contribution to defining the discipline of Christian spirituality consists mainly in the pursuit of methodologies for the field.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her methodologies for the study of spirituality.
    For Schneiders, spirituality is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cipline, and is defined as "the experience of conscious involvement in the project of life-integration through self-transcendence toward the ultimate value one perceives." Spirituality as a discipline seeks to "understand [Christian experience] as it actually occurs, as it actually transforms its subject toward fullness of life in Christ, that is, toward self-transcending life-integration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of faith." She divides scholarly approaches to the study of spirituality into three groups: historical, theological, and hermeneutical. She argues that the third approach is most suitable, because it needs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spirituality, which is to understand spiritual experiences and to find their meanings for today's Christians. The hermeneutical approach consists of three interacting phases: description, critical analysis, constructive interpretation.
    Besides the hermeneutical approach, she presents two other main characteristics of studying spirituality: interdisciplinary and self-implication. There are two layers of interdisciplinarity in the study of spirituality. They are constitutive disciplines and problematic disciplines. Constitutive ones are disciplines which "supply the positive data of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as well as its norm and hermeneutical context." Problematic ones are disciplines which are "called into play and integrated into methodology of a particular study because of the problematic of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These two layers are dynamically interwoven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Concerning the self-implication, she points out that one of the major challenges the discipline of spirituality faces as it develops its identity in the academy is how to integrate self-transformative approach with the standards of criticism, personal commitment to what one is studying with appropriate methodological perspective, and practical involvement with theoretical integrity.
    The hermeneutical approach needs to be complemented by critical theor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requires to find a string to integrating various findings drawn from using the methodologies of different disciplines. The self-implicating approach is to pay attention to how to attain full credibility to the standards of the academic methodology. The understanding of Schneiders's methodology can be a stepping stone for building up more solid and proper methodologies for the discipline of spirit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