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스토어의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Sports Brand Flagship Stor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8.10
12P 미리보기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스토어의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5호 / 289 ~ 300페이지
    · 저자명 : 김진석, 신동준,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브랜드는 고객중심의 체험마케팅을 적용하여 고객과 소통하고 있으며 이것은 기존의 전통적인 마케팅 방법에서 고객중심의 마케팅으로 변화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고객중심의 체험마케팅을 통하여 소비자는 브랜드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친밀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 중 공간 내에 활동 체험요소 및 프로그램에 대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번트 H. 슈미트의 '전략적 모듈체험(SEMs)'을 기반으로 답사 공간을 분석하고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스토어 내부 공간의 활동과 체험의 특성을 종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1차적으로 국내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체험마케팅, 공간마케팅에 대한 키워드를 통한 문헌적 연구를 진행 하고 2차적으로 현장답사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 답사에 있어서는 서울 근교의 클래스룸 운영과 판매 및 체험공간을 운영하는 뉴발란스 강남 플래그쉽스토어, 언더아머 강남 브랜드하우스, 룰루레몬 청담 플래그쉽스토어를 대상으로 답사 하였으며 답사 내용을 토대로 체험마케팅의 요소별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체험모듈의 5가지 요소인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를 기반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고 종합적으로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스토어는 감각마케팅 측면에서 시각요소가 가장 눈에 띄는 장점을 보였다. 감성마케팅 측면으로는 분위기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이 두드러졌으며, 인지마케팅 측면으로는 브랜드와 브랜드 공간의 접근성 및 흥미유발요소, 공간 스토리 요소가 뛰어난 부분으로 볼 수 있었다. 행동마케팅 요소로는 선택적, 인지적, 감각적, 기능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서 브랜드를 홍보하는 마케팅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었고 마지막으로 관계마케팅 요소는 고객과의 상호작용과 브랜딩, 브랜드의 정체성, 커뮤니티형성 등 긍정적 가치 창출을 하고 있음을 도출 할 수 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현재 아웃도어나 스포츠와 관련된 플래그쉽스토어에 활동 체험요소들이 브랜드에 중요한 마케팅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스포츠관련 브랜드의 고객중심적인 판촉행위이고 나아가 판매 성과와도 매우 상관성이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에서는 체험적 측면을 고려한 공간의 필용 내용을 적용하면 각 매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향후 브랜드 이미지향상에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Brands are approaching customers by applying customer-oriented experiential marketing. This trend shows a shift from traditional marketing to customer-oriented marketing. In addition, through customer-oriented experiential marketing, brands can create a sense of intimacy. Space design marketing features have the advantage to enhance brand familiarity,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elements of selling,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brand image transfer and a new marketing experience through experience. In particular, a variety of flagship stores of outdoor and sports brands have adopted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lagship stores of sports brands based on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SEM) proposed by Schmidt and field surveys. (Method) We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on sports brands, flagship stores, empirical marketing, and space marketing, followed by a field study. In the field surve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Balance Flagship in Gangnam, Under Armour Brand House in Gangnam, and Luluemon Flagship Store in Cheongdam, all of which operate classrooms, and sales and experience areas near Seoul. (Result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five elements of the study's sensory experience, sensory,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ship. Overall, the sports brand representative stores mostly showed visual elements, in terms of sensory marketing. From an emotional standpoint, all three stores offered a fresh experience to consumers by creating a space that reflected the overall atmosphere, brand identity, and slogan. In addition, the stores created a desire to experience various elements of exercise. In terms of cognitive marketing, branding, and brand space accessibility, the stores had outstanding attraction and spatial story elements. As a character of sports brands that highlight elem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e three stores had sensuous, functional, and optional experience elements. Finally, the relational marketing component involved staff interacting with customers, which reflected brand identity and created positive value through community space formation. (Conclusions) Large stores related to outdoor and sporting ev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rand and serve a crucial marketing role. In addition, the activities and experience factors are critical to brand marketing, with significant impact to sales performance as well.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requirements for experience-oriented use in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can help individual stores improve their reach and imp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