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엄경』에서 ‘쉼’의 의미와 휴식형 템플스테이 (Meaning of Resting in Suramgama-sutra and Templestay in Resting Min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3.06
37P 미리보기
『능엄경』에서 ‘쉼’의 의미와 휴식형 템플스테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4호 / 115 ~ 151페이지
    · 저자명 : 이월호

    초록

    『능엄경』에서는 ‘쉬는 것이 곧 깨달음’이라고 한다. 어째서 쉬는 것이 곧 깨달음일까? 또 쉰다는 것은 무엇을 쉰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쉬어야하는 것인가?연야달다의 비유는 이를 쉽게 설명해준다. 연야달다는 어느 날 갑자기 미쳐서 자기 머리에 얼굴과 눈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밖으로 뛰어 달아난다.
    얼굴과 눈을 찾아서.
    하지만 본래 면목은 그대로 거기 있다. 다만 미친 증세만 쉰다면, 밖으로찾아 나설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쉬는 것이 곧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쉼’의 의미를 최근 성행하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과 연관시켜 보았다. 초기불교의 몸 보기와 마음보기, 그리고 참선의 성품보기를 포괄하여 ‘마음쉼’이라는 큰 틀 속에서 용해시키고, 일심(一心) / 무심(無心) / 발심(發心)이라는새로운 체계로 만들어낸 것이다. 이것은 삼국시대 이래의 통불교적 전통에 입각해서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법을 적극 수용하되, 참선의 본래 효능을극대화하기 위하여 삼단계로 마음공부를 구체화한 것이다. 이르자면, 일심공부는 초기불교의 수행법, 무심공부는 참선의 수행법, 발심공부는 대승불교의수행법을 제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단계로서 실제적 ‘쉼’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첫째, 하심형 쉬기: 마음을 낮추는 연습을 한다.
    둘째, 일심형 쉬기: 마음을 하나로 모은다.
    셋째, 무심형 쉬기: 한 마음마저 사라지게 한다.
    넷째, 발심형 쉬기: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일으킨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기대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는 무엇보다 불교의 깨달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다. 상식적으로 사람들은 고정관념을 통해 ‘깨달음’조차도 아직은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얻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깨달음은 ‘얻음’을 통해서 열리는 것이 아니라, ‘쉼’을 통해서 열린다는 사실을 통찰할수 있다.
    이와 같이 진정한 마음공부인 ‘마음 쉼’을 통해 하루 속히 ‘안심(安心)’을 체득하고, 궁극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행복증진에 기여하고자 함이 본고에서 기대할수 있는 또 다른 효과이다.
    위에서 제시한 실습방법들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이미 여러 차례의 대중실습을 거쳐서 실시되고 검토된 것들이다. 그 가운데 가장 유효적절한 방법을간추려 정리했을 뿐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Suramgama-sutra says ‘resting is enlightenment’. How can resting be enlightenment? Also, what does resting mean and specifically in what way do we rst?Yeonyadaldaexplains that well in figurative way. One day Yeonyadalda got mad and thought that he did not have face and eyes in his head. So, he ran outside and escaped. To search for his face and eyes.
    However, original face and eyes are still there in its own place. Only if resting madness, it is not necessary to go out and search for it. That is why resting is enlightenment.
    I came to relate the meaning of this ‘resting’to temple-stay program that has been very popular. That is seeing body and seeing mind in early Buddhism and seeing original mind(性品) in meditation were dissolved in larger frame of mind resting and this was made in the new system of one mind, no mind, and setting one’s mind(發心). Early Buddhism and practice in Mahayana Buddhism were actively accepted based on Buddhist tradition since the era of the Three States, but in order to maximize the original effective in meditation, practicing mind was specified in three phases. That is, practicing one mind presents ways of practice in early Buddhism, practicing no mind presents them of meditation, and practicing creating one’s mind (發心工夫) presents ways of practice in Mahayana Buddhism.
    Thus, following four phases enable practitioners to experience actual ‘resting’First, resting in humble mind: Practice having humble mind Second, resting in one mind: Concentrate one mind Third, resting in no mind: Practice one mind to disappear Fourth, resting in setting one’s mind: Set one’s mind without attaching to things The greatest effect expected from this study is correct perception on enlightenment of Buddhism. People wrongly believe that ‘enlightenment’ is to acquire ‘something’ that has not yet known. However, people can have insight through the fact that enlightenment is not acquired by ‘gaining’, but by ‘resting’.
    As it is mentioned above, resting mind, practicing mind in authentic way, enables people to feel free, reliev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society . Ways of practice presented above are not merely theories, but they has been put into practice a number of times and reviewed.
    Among those practices, the most effective and appropriate ways selected are organized and the methods will need to be revised and complem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