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쿠쉬어 통사관계 표시의 유형적 특성, 시다마어를 중심으로 (Typological characteristic of marking syntactic relation of Cushitic,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idaam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9.06
42P 미리보기
쿠쉬어 통사관계 표시의 유형적 특성, 시다마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프리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 56권 / 1호 / 3 ~ 44페이지
    · 저자명 : 권명식

    초록

    아프로-아시어 어족에 속하는 쿠쉬어는 중심선행 유형인 고대 이집트어, 베르베르, 셈어와 달리 중심 후행 패턴을 보인다. 절의 어순은 SOV이며 명사구에서는 이 원칙을 벗어나는 다양한 변이가 나타나긴 하지만 부치사구에서는 후치사구조를 보인다. 중심후행 패턴언어들이 격표시를 주로 하고 있고, 나일-사하라 북부어들처럼 동사 연결(converb, coverb)이 나타나 술어부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격할당 패턴이 대격패턴과 유표 주격패턴으로 나뉘는 것을 케만트네와 다세네치 같은 언어들을 바탕으로 살펴보았고, 더욱이 동부 고지 쿠쉬어인 시다마어의 유형적 특성을 남부 다토가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들과 상호비교 하였다. 셈어 유입과 인근 나일-사하라어들, 그리고 오모어와 수르마 및 토착 잔류어들의 영향으로 기본적 유형패턴의 다양성과 변이들을 개개 언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지리적 분포와 역사적 발전과정, 그리고 인근 언어들과의 접촉 양상을 이해한다면 이같은 유형 다양성의 원인까지 설명될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영어초록

    In contrast to head-initial type of the three groups of Afro-asiatic, namely Berber, Old Egyptian and Semitic, the remaining two groups, Cushitic and Omotic show the relative stable typological pattern of head-final construction. So at level of clause the transitive sentence shows SOxV with postpositional phrase if the adjunct phrases are realized as adposition instead of peripheral concrete cases. As typological literatures point out, the order modifier and its head noun in noun phrase seems to be less consistent with the order of head and dependent.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s of constituents order and the notions of head and dependents, Cushitic can be described and further compared each other, how they follow the general principle of typological ordering in one hand and also morphological marking in other. For example there are many languages like Somali, Arbore, Elmolo, Alagwa, Burunge and Sidaada which recruit the head-marking strategy for encoding the subject function in addition to the nominative case marking. There is one language, namely Rendille among our Cushitic sample, which has neither case marker nor pronominal agreement marker at verb. What is more idiosyncratic phenomenon which are out of basic concept of head vs. dependent, is the use of the so called "selector", which is composed of subject nominal category like person and of verbal one like aspect, polarity, mood. The 'selector' is neither head of the clause, nor dependent. In this respect we can conclude that this construction can be regarded as one of peculiar types of African languages. In this line we introduced further unique phenomena like converb construction with switching reference marking which distinguish the same subject or the different subject in clause chaining constructions.
    The last peculiar typological feature of Cushitic is the so-called marked nominative or extended ergative pattern which is mostly spread over the area including north-eastern branches of Nilo-Saharan. Probably this unique marking of nominative in the subject of intransitive clause and also in the subject of transitive clause leaving the object of transitive (P) as unmarked argument, it comes from the process of declining the extensive cases of canonical dependant marking type. In the case of Kemantney, which is endangered minority group surrounded by the larger Ethiopia-Semitic Amharic, has an accusative case assignment pattern. In marked nominative system, the unmarked accusative has more functions than the nominative, for example for subject before verb, nominal predicate in copula clause, and so on. This means many case forms for these functions are eroded in form, and the unmarked accusative, that's why we call now absolutive, takes these functions.
    In comparing with the neighboring Nilo-Saharan, more concretely the Nilotic and Surmic, we could be able to explain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this peculiar alignment system, which will be the topic of future research, even though there are already some hypothesis on this problem are avail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프리카 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