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학적 예배와 신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설교 - 헬무트 쉬비어 중심으로 - (The Aesthetic Service and The Preaching that Stimulates Theological Thought - Centering on Helmut Schwier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6.11
23P 미리보기
미학적 예배와 신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설교 - 헬무트 쉬비어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2호 / 99 ~ 121페이지
    · 저자명 : 윤성민

    초록

    본고에서는 독일 실천신학자인 헬무트 쉬비어(Helmut Schwier)의 미학적 예배와 신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설교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한국교회가 열린 예배를 신학적 검토와 비판 없이 교회에 받아들이면서 예전적 예배가 많이 약화하였다.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가 던진 질문 ‘오늘날을 위한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조직신학뿐만 아니라 실천실학에서도 중요한 신학적 주제이다. 예배와 설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현대인에게 누구인지를 분명히 나타나야 한다. 그리고 감정만을 자극하는 방식이 아닌 미학적 접근방식으로 예배를 구상할 줄 알아야 하고, 회중이 진리를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수용미학적으로 회중이 예배 안에서 성서와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대인의 인식에 맞추어서 예전의 갱신이 일어나야 하고, 회중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설교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설교자는 ‘아멘’을 강조하는 방식이 아닌 평신도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해야 한다. 이 설교 방법론에서 중요한 것은 ‘질문’이다. 설교자는 설교하면서 짧게나마 답변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하고, 설교자는 왜 그렇게 믿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말하면서 사고의 길에서 평신도와 동행해야 한다. 헬무트 쉬비어는 예배와 설교는 하나임을 강조한다.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예배를 갱신하되, 강대상을 극장식으로 바꾸는 예배 갱신이 아닌 예전 갱신이 일어나야 한다. 회중은 예수 그리스도가 오늘날 우리에게 누구인지를 인식하면서 설교를 통해서 그들의 신학적 사고를 발전시켜야 한다. 한국교회의 평신도가 주체적으로 신학적 사고를 할 때 비로소 풍성한 신학적 사고관을 가지고 세상 안에서 기독교인답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roduces German Practical Theologian Helmut Schwier’s preaching methodology that stimulates aesthetic worship and theological thought. As Korean churches adopted ‘The Seeker Service’ without theological review or criticism, ceremonial worship has weakened a lot. ‘Who Jesus Christ is today’ thrown by Dietrich Bonhoeffer is an important theological subject in practical theology as well as in systematic theology. Who Jesus Christ is to modern people should appear clearly in both worship and preaching. And now, it is necessary to conceive worship from aesthetic approach rather than from emotion-stimulating one. The congregation should be made to recognize the truth in a natural way. It is time to study how the congregation recognize the Bible and Jesus Christ within the worship from the reception aesthetics point of view. And the ceremonial worship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modern people. And the preaching methodology that can stimulate the theological thought of congregation should be developed. Now, ordinary believers should be able to think theologically in an independent way rather than emphasizing ‘amen’ at preaching hours. What is important in this preaching methodology is asking questions. Preachers should give time to think about an answer to people briefly. Also, preachers should go with the ordinary believers on the way to thought about why they believe and behave so. Worship and preaching are the same thing. Worship should be improved from the reception aesthetics point of view, but the ceremonial improvement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trying to change pulpit into a theater-style. The congregation should develop their theological thought through preaching, recognizing what Jesus Christ means to us today. Only when the congregation think in a theological way by themselves, they will be able to live as Christians within this world with rich theological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