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숨은그림찾기 그림책에 의한 창의력 효과연구-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 (Study on special effects of creative ability by ‘Finding hidden picture' picture books - Focused on low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7.01
14P 미리보기
숨은그림찾기 그림책에 의한 창의력 효과연구-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58권 / 165 ~ 178페이지
    · 저자명 : 전혜진, 이경현

    초록

    본 연구는 숨은그림찾기를 가지고 놀이를 가지고 저학년을 대상으로 창의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동들은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학습을 위해 조기교육을 경험하며 빠른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살아간다. 창의성은 새롭고 적절한 산물을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보지식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우리의 교육에서도 미래 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응해나가기 위해 학교에서 창의성 교육이 요구되며 강조 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창의적 인재를 제시한 바 있다본 연구에서는 대형서점에서의 베스트셀러 숨은그림찾기 책들의 구성과 유형을 분석 한 뒤 4가지유형으로 나누어 숨은그림찾기그림을 선정하고 창의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틀에 걸쳐 하루는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다음 날 숨은그림찾기를 실시한 뒤 바로 사후검사에 들어갔다. 유형별로 1학년과 2학년의 차이, 성별의 차이, 학년의 차이에 따른 창의력을 살펴보았으며 스토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단순한 그림과 복잡한 그림의 숨은그림찾기를 통해 학년별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로 이전에 같은 숨은그림찾기로 주의집중력에 대해 검사를 한 바 있다. 주의집중력과 창의력에서 선호되는 숨은그림찾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숨은그림찾기에 의한 창의력검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은 도출 할 수 있다.
    창의력은 스토리가 있으며 단순한 숨은그림찾기(A형)에서 1학년, 2학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스토리가 없으며 복잡한 숨은그림찾기(D형)에서는 2학년 남학생, 여학생 모두에게서 창의력이 높았다. 1학년에서는 여학생이, 2학년에서는 남학생이 우세하였으나 저학년 전체에서는 여학생이 우세하였다. 창의력은 1학년 경우 스토리가 있으며 단순한 숨은그림찾기와 함께 새로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활동지가 만들어 진다면 도움이 될 것이며, 2학년의 창의성은 1학년과 같은 스토리가 있고 단순한 숨은그림찾기에서 효과가 있었지만, 스토리가 없으며 복잡한 숨은그림찾기에서도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복잡한 이미지에 몰두하며 생각을 통해 창의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기에 주제와 형태에 따른 복잡한 숨은그림찾기를 통해 상상의 생각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학령기에 해당하는 아동들에게서는 유아기를 지나 창의성이 더욱 중요한 시기라고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놀이를 통한 교육적 방향과 연계되어 도움을 주는 숨은그림찾기연구가 계속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with hidden image retrieval, we explored creativity for lower grades with play. Children enter the school ages, experience early education for new learning, and live according to changes in high-speed environment. Creativity means the ability to calculate new appropriate products.
    As information knowledge society progresses, we are emphasizing that creativity education is required in schools in order to effectively adapt to future society even in our education. I reflect on such a tendency to present creative talent to a human figure to be pursued in the process of primary /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this research, after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type of books for bestseller finding hidden picture retrieval at large bookstores, we selected image retrieval finding hidden picture in four types and conducted creativity inspection.
    A day before the 2nd, we carried out a preliminary examination, we carried out a finding hidden picture on the next day, and immediately entered the ex post inspection. By type, I expla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1st and 2nd grade, the gender difference, the creativity due to the difference in grade. With and without a story, depending on the sexual orientation by grade level through a finding hidden picture of simple pictures and complicated images I compared and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 am checking concentration attention on the same finding hidden picture.
    Attention It was possible to know different appearance of finding hidden picture preferred for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In the creativity examination by the finding hidden picture,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prominent.
    Creativity is a story, there are no first-year students, second-year students, all emergent story with simple finding hidden picture (type A), complicated finding hidden picture (D type), second-year boys and girls Creativity from both was high. Female students in first graders, male students dominated in second graders, girls students predominated in lower grades as a whole.
    Creativity is a grade in case of a first grader, if there is a story, if it is created whether a simple finding hidden picture and an act that can express a new idea are created, the creativity of the second grade is a story like a first year student. There was an effect with a simple finding hidden picture, but there is no story, the effect became clear even with complicated finding hidden picture retrieval.
    Children corresponding to school age were also called period of time when creativity was even more important than early childhood.
    Through this research, if studies of finding hidden picture continue to grasp the trends of students and continue to be useful in connection with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rough pl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