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정의 수필에 숨은 자기-기만, 모순 그리고 위선 (Self-deception, Contradiction and Hypocrisy Concealed in Pup-Jeong’s Essay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0.10
31P 미리보기
법정의 수필에 숨은 자기-기만, 모순 그리고 위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23호 / 67 ~ 97페이지
    · 저자명 : 배학수

    초록

    불교의 승려인 법정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1970년대부터 그의 에세이는 한국의 시대정신의 일부를 형성했다. 이 논문은 법정의 작품과 그가 대변하는 현대 한국의 의식의 의미와 한계를 파헤치기 위한 것이다. 법정의 사유는 무소유라고 불리는데, 그것은 소유가 인간을 불행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우리의 상식과 맞지 않는 듯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더욱 행복하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거나 재물을 많이 가지기 위해서는 육체의 구속과 정신의 스트레스를 견디어야 한다. 법정은 그러한 고통을 피하기 위해서는 소유를 추구하지 말아야 하고, 대신 자연과의 대화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필자의 의견으로는 소유의 부정에는 부를 행복을 위해 좋은 것이라고 믿으면서도 나쁘다고 믿는 자기-기만이 포함되어 있다. 헤겔의 스토아주의 비판을 토대로 필자는 무소유 사상의 자기-기만과 위선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한국 사회에 준 이점과 한계를 논의한다. 무소유 사상은 거의 40년 동안 한국인에게 위안과 안전감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실제 세계에 대한 관계를 방해했다. 필자는 무소유 사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관을 고려한다. 그에 따르면, 행복이란 인간이 지닌 가능성의 실현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개념은 외부의 소유 세계를 부정하지 않고, 그것을 인간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무대라고 간주한다.

    영어초록

    Pup-Jeong, a Buddhist monk,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writers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His essays published since 1970 has formed a part of our Zeitgeis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sclosure of meaning and limitations of Pup-Jeong’s works and the contemporary Korean consciousness represented by him. His thought is called non-possession, which claims that possession makes us unhappy. It seems to be contrary to our common sense, because we believe that the more we have, the better we live. To be wealthy or have more goods, we have to endure the bondage in body and the stress in mind. Pup-Jeong suggests that we should not pursue possession in order to avoid such pain and instead we can find happiness in the dialogue with nature.
    But the denial of possession include, I think, self-deception, which pretends that wealth is bad for our happiness while believing that money is good. Analysing self-deception and hypocrisy of the non-possession thought based on Hegel’s criticism of Stoicism, I discuss its benefits to the Korean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its limitations. The non-possession thought has offered comfort and security blanket to Korean people nearly for 40 years, but blocked the entrance to the real world. I consider Aristotelian view of happiness in an effort to overcome Pup-Jeong’s thought. According to Aristotle, happiness is the fulfillment of human potentials. His conception of happiness does not deny the outer possession’s world and see it as a stage for realizing human drea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유럽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