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규 연출 완판창극의 창극술 연구– <흥보전>(1982)과 <흥보가>(1984)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Wanpan-changgeuk(完板唱劇) directed by Hur Gyu : Focusing on Changgeuk Dramaturg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7.02
38P 미리보기
허규 연출 완판창극의 창극술 연구– &lt;흥보전&gt;(1982)과 &lt;흥보가&gt;(1984)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4호 / 73 ~ 110페이지
    · 저자명 : 김향

    초록

    이 논문은 허규의 완판창극 <흥보전>(1982)과 <흥보가>(1984)의 창극술과 그 의의를 논한 것이다. 판소리 <흥보가>가 두 편의 완판창극 <흥보가>로 구현되는 과정에서의 창극술과 그 의의를 논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창극술’은 창극의 양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을 통해 어떠한 미적 의식을 드러내는지를 논하는 것으로 연출가가 완판창극을 통해 지향하는 의식에 관한 것이다.
    허규의 완판창극 <흥보가> 창극술은 우화적이고 신명나는 놀이의 정서 속에서 ‘가난과 배고픔을 면하기 위해 몸을 파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해학적으로 드러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적인 연극성’과 ‘한국적인 놀이성’을 융합시킨 창극술을 통해 ‘형제 간의 우애’라는 주제의식을 넘어서 ‘가난으로 인한 서러움’이라는, 당대 및 동시대에도 공감할 수 있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문제의식을 불러일으킨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흥보의 ‘나누는 삶’을 통해 한국 전통연희의 ‘놀이성’을 단순한 기예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생의 삶’을 추구하는 ‘신명’의 정서로 구현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 논문에서는 허규의 ‘민족극’론이 당대에 드물게 서양 연극술과 전통연희의 무대화라는 융합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연출가 의식으로 인해 새로운 주제의식을 만들어내면서 관객과의 공감대를 확장하려는, 즉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창극술’이 구현되었음을 논한 의의가 있다. 완판창극이 단순히 공연시간만이 길어진 형식의 것이 아니라 허규의 ‘민족극’론을 토대로 한, 융합적인 인식을 토대로 하는 창극술을 지향하고 있음을 밝힌 의의가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udies Hur Gyu’s Wanpan-Changgeuk Heungbojeon (1982) and Heungboga (1984),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dramaturgy of Changgeuk and its meaning as transformed from Pansori Heungboga.
    The dramaturgy of Wanpan-Changgeuk Heungbojeon and Heungboga served to express criticism toward selling oneself. Beyond their former classical theme of brotherly affection, these productions elicited sorrow at the sight of poverty through a dramaturgy integrating modern theatricality with the Korean dramatic style. The theme of grief for poverty in these Changgeuk plays simultaneously aroused spectators’ sympathy and critical thinking about economic aspects. Moreover, the Korean drama style and humor were not used simply as a tool but to exhilarate an emotional response to a life of coexistence.
    This paper found that Hur Gyu’s Wanpan-Changgeuk Heungbojeon and Heungboga recreated a new Changgeuk dramaturgy based on the director’s integration of western thinking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stage. Through this, Hur Gyu tried to expand spectators’ sympathy and to achieve artistic and popular success. Thus, these value of Hur Gyu’s Wanpan-Changgeuk lay not only in its long running-time, but in its dramaturgy of integrating thinking for his Minjokgeuk (nationalist the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