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경추 신연-굴곡 손상 시 술 전 견인에 의한 후관절 탈구 정복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for Reduction of Facet Joint Dislocation by Preoperative Traction in Distractive-Flexion Injury of the Lower Cervical Spin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2.10
10P 미리보기
하경추 신연-굴곡 손상 시 술 전 견인에 의한 후관절 탈구 정복의 위험인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형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57권 / 5호 / 409 ~ 418페이지
    · 저자명 : 김태호, 김민우, 송원빈, 고종현, 송경진

    초록

    목적: 불안정한 신연-굴곡 손상에서 술 전 견인 정복을 방해하는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정복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한 신연-굴곡 손상(Allen 2단계 이상)으로 1994년부터 2018년까지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 두부 견인을 시행하였고, 술 전 견인 정복에 성공한 A군과 견인 정복에 실패한 B군으로 분류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후관절 탈구와 아탈구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주 손상 후관절은 탈구에 의해 손상을 많이 받은 부위, 부 손상 후관절은 아탈구에 의해 비교적 손상이 적은 부위로 정의하였다. 주 손상 후관절의 침범 정도는 탈구된 후관절을 수직으로 4등분(D1–D4)하여 분석하였고, 부 손상 후관절 침범 정도도 아탈구된 후관절을 4등분(S1–S4)하여 평가하였다. 연부조직 손상정도는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손상 기전을 고려하여 3단계로 분류하였다. 여러 가지 변수들과 술 전 정복 가능성의인과관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A군이 27예(2단계 손상-21, 3단계-6), B군이 23예(부분 정복-9, 실패-14, 2단계 손상-13, 3단계-9, 4단계-1)였다. 두 군 간에 나이, 성별, 손상 부위, 후관절 골절, 연부조직 손상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신연-굴곡 2단계 손상에서는 D3 이상의 탈구가 동반된 경우에 정복 실패 확률이 높았으며(p=0.001), 아탈구의 정도는 S1 이하로 경미할수록 정복 실패 가능성이높았다(p=0.033). 신연-굴곡 3단계 이상의 손상에서는 D4의 탈구가 동반된 경우 정복 실패 가능성이 높았다(p=0.016).
    결론: 신연-굴곡 2단계 손상에서는 편측 후관절 탈구의 정도가 50%를 넘거나 반대측 아탈구가 25% 이하인 경우와, 3단계 손상에서 양측 후관절 탈구가 75%를 넘는 경우에 폐쇄적 견인 정복을 방해하는 위험요소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urpose: The treatment strategy of Distractive-Flexion Injury (DFI) depends on the preoperative reduction, and anterior surgery is usually sufficient for closely reduced DFI. In contrast, reduction-failed injuries should be reduced by more complex procedures.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factors of closed reduction and identified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reduci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ifty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due to unstable DFI (Allen stage 2 or higher) from 1994 to 2018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underwent Gardner–Wells tongs traction preoperatively. The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reduced, group B: failed reduction). The degree of dislocation and subluxation of the facet joints were analyzed by computed tomography. The major injured facet (MIF) joint was defined as a dislocated joint with more damage, and the opposite facet joint was defined as a minor injured facet joint (mIF) with subluxation. The severity of a MIF injury was analyzed by vertically dividing into quarters of the dislocated facet joint. The severity of the mIF injury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subluxated articular surface facet into quarters. The degree of soft tissue injury was measur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divided into three grades. The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reducibility and other variables was analyzed.
    Results: Group A contained 27 cases (DFI 2=21, DFI 3=6), and there were 23 cases in group B (nine partial reduction and 14 failures, DFI 2=13, DFI 3=9, DFI 4=1). In DFI 2, the more severe dislocation (D3 and D4),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reduction failure (p=0.001), and the probability of reduction failure increased with less subluxation (S1) (p=0.033). In DFI 3 and 4, the grade of dislocation (D4) also appeared to correlate with the reducibility (p=0.016).
    Conclusion: The degree of facet involvement could be used as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tool in treating DFI of the lower cervical spine.
    In particular, in DFI 2, severe dislocation (50% or more) or mild subluxation (25% or less), and 75% or more dislocation in DFI 3 and 4 may be a risk factor for interrupting closed traction re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정형외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