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목이 찬술한 조식 선생 ‘신도비’논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eo Mok’s Cho Sik Memorial Stone Controvers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1.06
32P 미리보기
허목이 찬술한 조식 선생 ‘신도비’논란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42권 / 1호 / 157 ~ 188페이지
    · 저자명 : 조주희

    초록

    한자의 도입과 함께 전래된 유학은 혈연공동체의 생활규범과 사회공동체의 행동규범을 보편화하여 도덕·윤리의 근간을 이룸으로써 우리 전통문화의 정수를 제공하였다.
    문화란 자연 상태에 있는 정신적·물질적 실체를 인간이 가공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창조해 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문화생산의 촉매제로는 문자에 의해 정리된 학문이 가장 으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한 사회에 특정 학문이 정착되면 그 학문이 통치의 이념을 제공하여 사회변동이 일어나고 사회변동은 문화 변화를 일으킨다는 학문과 사회와 문화 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이 패러다임의 틀에서 미수 허목이 찬술한 ‘남명 조식의 신도비’인 『덕산비』에 대한 논란을 사회·문화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성리학의 경우 고려 말에 도입되어 왕조교체의 명분을 제공하여 사회변동을 불러 왔을 뿐만 아니라, 혈연공동체의 생활 규범과 사회공동체의 행동규범을 제시하여 불교와 도교를 멀리하는 문화변동을 일으켰다. 실학은 17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공리공담에 치우친 성리학을 개혁하여 實事求是의 논증을 중시함으로써 영·정조의 문예부흥기를 태동시켰을 뿐만 아니라, 허목이 찬술한 『덕산비』가 신도비의 원래 취지인 揚善隱惡 보다는 자신의 의도인 陽尊陰擠를 각인하여 놓았다는 논란을 정파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후손의 효심에 의존하여 판단하는 문화변동을 가져왔다.
    ‘신도비’는 2품 이상의 품계를 얻은 망자에게 주어지는 은전으로, 망자가 학문 연구를 통해 고고한 인품과 깊은 학문을 지녔었다는 증거였다. 따라서 이것은 가족과 가문 그리고 망자가 속한 학파에게 긍지를 안겨주는 영광스러운 특전이었다. 이러한 영광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남명 조식(1501~1572)의 신도비문 찬술 역시 당대에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최고의 명성을 얻고 있는 학자에게 청문하였다. 1617년에 세워진 정인홍의 『남명선생신도비』는 1623년 인조반정으로 훼철되고, 그 이후에 남인의 영수였던 허목에게 청문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 비를 세웠다. 이후 서양학문의 전래와 함께 1685년에 세워진 허목의 『덕산비』가 남명에 대하여 양선은악 보다는 양존음제의 경향이 짙다고 하여 조씨 문중과 노론이 한편이 되어 1926년에 훼철하였다. 그 후에 진주향교의 남인계 유림이 소송을 제기하여 5년간에 걸친 소송 끝에 조식 후손이 승소함으로써 250년 동안 계속된 허목의 『덕산비』에 대한 논란이 종지부를 찍게되었다.
    이 논문은 조식의 신도비 청문 과정과 立碑 과정에서 후손의 孝보다는 정파적 이해관계가 개입되었다는 사실을 학문의 정착, 사회의 변동, 문화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탐구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dispute stemming from the cenotaph erected in memory of Nammyeong (Cho Sik's nickname), and its subsequent destruction leading to a lawsuit between the Namin (southern people) faction and the descendents of Cho Sik was examined through a sociological lens. The writing on the cenotaph was also a cause for dispute between Namin and the descendents of Cho Sik, as well as between Namin and Noron (another faction).
    Cho Sik was active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early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Neo-Confucianism in Joseon was centered around familial blood ties which determined norms for the whole community and the ruling ideology for the nation state. These neo-Confucian norms pervaded in all facets of society, including kinship communities, wider society, and culture. These norms also permeated in mental or intellectual outputs such as artworks and symbolic systems such as linguistic rules. All these in the Joseon era were included under the umbrella of the concept of culture, with culture being defined as the mental and physical aspects of nature as it is created by humans, and that which is transformed or created as new.
    The academic discipline called Confucianism also contained the term culture as the concept of a human mental output leading to new creations. Neo-Confucianism was a philosophy that added metaphysical reasoning to early Confucianism, and was introduced in late 13 century Goryeo by Ahn Hyang, thus playing a critical role in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in the dynastic transition period.
    Neo-Confucianism rejected the doctrines of Buddhism and Taoism as empty, characterizing them as a destructive force of familial and societal ethics and discipline, as Buddhism tended toward eschewing the secular world and Taoism favored seclusion. Buddhist and Taoist doctrines were effectively rendered a taboo paving the way for neo-Confucianism to take root in the culture, and as a result, causing a great societal chang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Realist School (Shilhak) of Korean Confucian academic tradition was established, and its practitioners reflected upon the exclusionary and intolerant nature of neo-Confucianism. They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pragmatism and carefully analyzed and debated each and every proposition they faced. Accordingly, the 喪葬祭禮, or Confucian rituals, was elevated to the status of an academic discipline.
    However, the rituals outlined in the Sangjangjerye became the source of intense struggle among the political factions behind closed doors, thus leading to social change which in turn caused cultural change.
    The establishment of the Shindobi, which was used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class system, became the subject of profound studies, and the focus of a power struggle between factions, including Yesong surrounding funeral rites of a queen's mother, served as the catalyst for great social change. When viewed through this lens, the sociological meaning of Heo Mok's cenotaph erected for Cho Sik entitled “Deoksanbi” is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