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동고승전』 원광전 찬술 (A Study on the Compilation of Wonkwang Chon of Haedong Kosung Chon(『海東高僧傳』) and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5.06
33P 미리보기
『해동고승전』 원광전 찬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31호 / 63 ~ 95페이지
    · 저자명 : 곽승훈

    초록

    覺訓은 『續高僧傳』, 金陟明의 「圓光法師傳」, 『三國史記』 등을 참고하여 『海東高僧傳』 원광전을 찬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훈은 원광의 출가와 수행, 중국 유학과 雲門寺 창건, 중생 교화와 호국활동, 그리고 여러 가지 神異 등을 수록하였다.
    圓光法師는 중국 유학을 통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렀는데, 隋나라 군사에게 포박되었을 때 나타난 放光의 神異와 진평왕의 질병을 치료할 때 나타난 頭光의 神異 등이 그렇다. 이로서 각훈은 결국 불교의 위대함을 역설하였다.
    원광법사는 유학과 老莊 등 諸子百家의 학문과 成實 攝論 등의 불교 교학에도 뛰어났다. 그래서 중생을 가르칠 때에도 사람들의 根機에 맞게 교화할 수 있었다. 貴山에게 가르친 殺生有擇이 湯王과 孔子가 생명을 존중한 사례와 같은 것으로서 그 적절한 예가 된다. 이를 통하여 각훈은 유불의 조화를 나타내었다.
    원광법사는 나라를 위해 乞師表를 비롯한 외교문서를 지었고, 화랑에게는 世俗五戒를 가르쳤다. 또한 국왕의 질병을 치료하였고, 왕은 그에 보답하여 정성껏 공양하였다. 이같이 국왕의 佛法 보호와 원광의 호국활동을 통하여, 각훈은 이상적인 국가불교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원광법사는 귀국 도중 海龍을 만나 자신을 위해 鵲岬에 절을 짓고 복을 빌어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이에 작갑에 雲門寺를 창건하고 머무른다. 또 淸道 지역에 가뭄이 들자 龍女를 시켜 비를 내리게 한다. 이로서 각훈은 원광법사가 청도 지역에 운문사를 창건하고 교화한 사실을 드러내었다.
    원광법사는 三岐山에서 神의 도움을 받고 또 利他行을 배우기 위해 중국 유학을 권유받는다. 이후 법사는 깨달음을 얻고 귀국하여 神에게 授戒한다. 이는 신라에서 巫佛교체가 이루어져 불교가 정착하고, 또 적극적인 대승불교로 나아가는 상황임을 알려준다. 이로서 각훈은 신라불교사에서 원광의 위치를 적극 부각하였다.
    끝으로 사학사상에서 볼 때, 원광의 전기 서술은 신라시대에 그의 활동과 사상이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고려시대에는 기존 내용에 운문사의 창건연기가 추가되었다. 이는 불교사 서술 경향이 신라시대의 高僧 중심에서 고려시대에는 宗派나 寺刹 중심으로 변화되었음을 알려준다. 그것은 통일신라시대 국가의 교단 아래 종파불교가 성장하여 계승되었다면, 고려시대에는 어느덧 각 종파의 규모가 교단을 이루어간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에 따라 사찰에서는 역사적 전통성을 강화하는 노력이 경주되었다. 그 결과 고려 후기 불교사학사에는 자연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고, 『해동고승전』이 바로 그 중심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Gak Hun(覺訓) wrote Wonkwang Chon(圓光傳) of Haedong Kosung Chon(『海東高僧傳』), by consulting Hsu Kao-Seng Chuan(『續高僧傳』), Wonkwang Bopsa Chon(「圓光法師傳」) by Kim Chok-myong(金陟明), and Samguksagi(『三國史記』).
    Wonkwang Bopsa attained Buddhahood while studying in China, which was demonstrated in his novel and peculiar act of Banggwang(放光) when he was tied up by the Sui(隋) forces and that of Dugwang(頭光) when he treated the illness of King Chinpyong(眞平王). Gak Hun thus emphasized the greatness of Buddhism eventually.
    Wonkwang Bopsa excelled in the study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cluding Confucianism and Lǎo Zhuāng and the study of Buddhism including the Seongsil(成實) and Seopron(攝論), thus being able to teach and reform people according to their talent and generosity. He taught Kwisan(貴山) to be discriminating about taking of life, and it was the same as the case of respect for life by T’āng(湯) and Kongzi and makes a good example of it. Gak Hun thus demonstrated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Wonkwang Bopsa drew up diplomatic documents including Geolsapyo(乞師表) for the country and taught the Five Commandments for Laymen(世俗五戒) to Hwarangs(花郞). He also treated the illness of the king, who, in turn, provided him with offerings heartily. Gak Hun proposed an ideal aspect of National Buddhism through Wonkwang's activities to protect the country and the king's protection of Buddhist teachings.
    On his way back to Silla, Wonkwang Bopsa met a King Dragon living in the Yellow Sea, who asked him to build a Buddhist temple in Chakgap(鵲岬) for him and pray for his fortune. Wonkwang thus established Unmun Temple in Chakgap and stayed there. When the Cheongdo(淸道) area had a drought, he instructed the female dragon(龍女) to bring rain to the area. By telling those episodes, Gak Hun revealed that Wonkwang Bopsa built Unmun Temple(雲門寺) in the Cheongdo area and educated people there.
    Wonkwang Bopsa always received assistance from the Sansin(山神) of Samgisan(三岐山), who recommended him to study in China and learn Altruistic Action(利他行). As a result, he had a realization and returned back, offering him the Bodhisattva ordination and paying him back. The episode shows that Buddhism replaced Shamanism and settled down in Silla and that Silla moved forward toward active Mahayana Buddhism. Gak Hun thus actively highlighted the position of Wonkwang in the history of Silla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