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기 양반의 술 문화 — 조선 초기 잡록의 술 관련 일화를 중심으로 — (Yanban's Dringking Culture in the Early Ch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0.10
30P 미리보기
조선 초기 양반의 술 문화 — 조선 초기 잡록의 술 관련 일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19호 / 335 ~ 364페이지
    · 저자명 : 류정월

    초록

    이 논문은 음주 행위가 단순히 먹고 마시는 것이 아니라 주체들의 취향을 분류하고 위계화하는 ‘구별짓기’의 기호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조선 초기 잡록에 나타나는 술 관련 일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선 초기의 지배적⋅공식적 시각으로 볼 때 음주는 그 자체로 ‘악’이었지만 잡록에서 호음(豪飮)과 대식(大食)은 내적⋅외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수반한다. 이렇게 호음이 긍정되는 데에는 그것이 내면의 크기와 강함을 드러낸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음주의 행위와 내면적 자질을, 크기와 강함이라는 물리적 유사성 하에 관련짓는 것은 문화적으로 독특한 방식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두 가지 시각을 제공한다. 하나는 같은 시⋅공간에서 다른 계층의 음주 행위를 살펴보는 것(공시론적 방법)인데, 이때 천민의 호음은 비웃음의 대상으로 그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다른 시⋅공간에서 이루어진 음주 행위를 살펴보는 것(통시론적 방법)인데, 조선 중기는 음주의 양보다는 질을, 그리고 무엇보다 음주의 방식을 중시한다.
    조선 초기와 중기의 음주 문화 차이는 조선 초기 음주가 가졌던 경제적⋅정치적 효용을 설명하면서 보충된다. 술과 음식의 경제적 희소성으로 인해 음주의 양이, 세조 시대라는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음주인의 내면적 크기와 강건함이 중시되었던 것이다. 이후 본고는 조선 초기 경제적⋅ 정치적 효용을 가졌던 음주가 조선 중기 이후 변화하는 모습을 설명할 수 있는 틀로 ‘중(中)의 원리’를 설정한다. 조선 초기와 중기는 모두에서, 음주는 단순히 먹고 마시는 문제가 아니라 내면을 유추할 수 있는 기호이자 그러한 내면이 정당화될 수 있는 가치들을 함축하는 유의의미한 기호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Pierre Bourdieu shows how social class tends to determine a person's likes and interests, and how distinctions based on social class get reinforced in daily life. This paper assumes that drinking alcohol is a kind of sign for distinctions. The object of study is some anecdotes which were written by yangban. They are contained by miscellaneous records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dynasty. Official discourse said that drinking alcohol was morally wrong at that time. The drinkers who were expressed in the records drank a lot (some of them even drank himself to death) ) and ate a lot. But the evaluations on them were positive. It is believed that heavy drinking reveals the inner side of drinkers which is great and strong.
    Next, This paper studies this phenomenon in the cultural context. I apply two terms to examine culture, one is 'synchronic' and the other is 'diachronic'. For the 'synchronic' study, this paper compares the drinking of yangban with that of other class, especially chenmin[賤民], the lowest class of Choseon dynasty. Chenmin's drinking bares no relation to his great and strong inner side and it is considered negatively. For the 'diachronic' study, this paper compares the drinking in the early period with that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dynasty.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People had a tendency to consider the people who drank little to be positive. This means heavy drinking doesn't function the sign of distinctions anymore. The middle period put emphasis on the way of drinking while the early period put emphasis on the amount of drinking.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the culture had changed at the level of economy and politics. As a result, the taste of drinking is not individual but cultu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