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젠더 인식의 보수화 과정과 ‘왈순아지매’ —『여원』 만화의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The recognition of Gender in the 1950s and 'Walsoon-asima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09.06
41P 미리보기
1950년대 젠더 인식의 보수화 과정과 ‘왈순아지매’ —『여원』 만화의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1권 / 21호 / 161 ~ 201페이지
    · 저자명 : 이선미

    초록

    1958년 8월부터 『여원』에 연재되기 시작한 정운경의 <왈순아지매>는 만
    화의 여성 캐릭터 중 가장 인기를 끌었던 인물이다. 이 여성인물은 현대적인
    교양과 도시적 세련미를 갖춘 여성과는 전혀 다른 성격이면서도 당대 여성들
    을 비롯하여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이 논문은 이 여성인물이 인기를
    끌었던 이유와, 그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여원』은 현대적인 여성의 교양을 위한 잡지로 창간되어, 초기에는 여대생
    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주력한다. 이런 편집방침에 맞추어 1955-56년 기간 동
    안 연재된 만화는 세 편 모두 미혼여성을 주인공으로 한다. 이 미혼여성은 서
    구적인 외양을 지니고서 거리에 나온 여성들이지만, 이런 여성들을 성적 이미
    지로 연결시키는 남성적 시선에 갇혀 사회생활을 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간
    다. 만화는 이런 상황을 반영하는 가운데, 오해와 반전의 에피소드를 만들어
    웃음을 유발한다. 이런 미혼여성 주인공들은 일 년을 채우고서 ‘주부’를 중심
    으로 변화한다.
    이 주부는 현모양처라는 ꡔ여원ꡕ의 여성교양의 중심 이념을 구현하는 인물
    인 듯하지만, 실제로는 열렬한 구애를 거쳐 남성과 결혼에 이른 낭만적 사랑
    의 주인공들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가부장으로서의 남편과 그를 내조하
    는 아내라는 성역할이 아닌, 가족 구성원으로서 사적 영역을 담당하는 주부로
    서 자리매김되는 수평적 젠더 질서의 여성표상이다. ‘주부’는 남편의 사랑을
    받아들인 사랑과 결혼의 주체로서 남편과 동등한 위치에서 가족을 구성해 가
    는 여성인 것이다. ꡔ여원ꡕ의 만화는 1950년대에 낭만적 사랑을 거쳐 결혼에
    이르는 많은 청춘남녀의 결혼풍속과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가족관계의 수평
    적 젠더질서를 ‘주부’의 표상을 통해 구체화한다.
    그러나 이 주부의 여성표상은 그 대쌍으로 창안된 남성상이 기존의 가부장
    적 권위를 위협하는 남녀평등적 관계의 반영이라는 면에서 서서히 비판되기
    시작한다. 1950년대 가정생활의 필수조건처럼 존재했던 식모형상은 이런 여
    성상의 변화를 조절하고 통제하는 지배담론을 흡수하면서 여성들의 가정 내
    위상을 바꾸는 데 기여한다. 왈순아지매의 인기는 여기서 나오는 것이며, 왈
    순아지매가 매개하는 여성의 보수화도 여기에서 기인한다.
    왈순아지매는 토속적이고 반문명적인 순박하고 억척스러운 성격으로 인해
    집안 살림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부상하면서, 가정사를 관장하게 되고,
    급기야 전통적인 미덕을 정립하는 도덕적 주체가 되기에 이른다. 주부들의 서
    구지향적인 근대화 성향과 대립되는 왈순아지매의 심성은 가정 내에서 남성
    의 권위를 존중하고 전통적인 가치를 보존하는 미적 상징으로 역할한다. 이로
    써 주부의 가족 내 위치에 균열을 가하고, 젠더 질서를 재조정하는 역할을 하
    는 것이다. 왈순아지매가 서구추수적인 당대의 풍속을 비판하면서 자연적인
    소박한 미를 제안하는 긍정적인 측면을 무시할 수 없지만, 이런 미덕으로 인
    해 가족 내의 가부장적 질서를 강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면에서
    왈순아지매의 역할이 지닌 위험성을 지적할 수 있다.

    영어초록

    'Walsoon-asimae', written by Jeongwoongyeong in 1958, was an comic
    picture, and in favor with numerous readers. Then, this character was not a
    modern girl, but an urban people. She was a maid come from an agricultural
    district. It is not said that she was the ideal type on that contemporary. For
    all that, 'Walsoon-asimae' had gotten tremendous popularity. This paper
    aimed at examinig the cause and effect of this popularity.
    'Walsoon-asimae' was serialized in Yeowon, the women's massmagazine,
    from 1958. In the beginning(1956) of Yeowon, the editors tried to
    making image for a student at women's collage. The character of this comics
    were unmarried women that had got American sexual appearance. But this
    was only the inside. The other side, in the street, they were captured by the
    public gaze. Comics of Yeowon in 1956 made use of this circumstances as
    a subject matter, and made laugh.
    Unmarried women as the charater of womon's magazine in 1956 became
    'housewife' in 1957. For examples, <Mrs. Monago>, <The Dookkeobee
    familly>. It seems that the idea of 'housewife' was back up the Ideology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but this 'housewife' in the middle of the 1950s
    was entirely different. They married with bachelor falling in romantic love,
    and made equal relations with husband in Home. This shape was a new
    woman-style. 'Walsoon-asimae', a maid-mom, reversed gradually this new
    relationship in Home.
    'Walsoon-asimae', come from an agricultural district, did well a
    stay-at-home wife and mother's daily work. In addition, she was a
    warm-hearted person, and was economy in consumption. This character was
    worthy of being comparrative with that of 'hosewife'. And then, the meaning
    of 'Walsoon-asimae' had taken part in regaining the patriachal authority of
    husband. In spite of reminding multiple values, 'Walsoon-asimae' was a
    dangerous character because of reversing the equal gender system in H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