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순사상(大巡思想)의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 ‘해원상생(解冤相生)’의 이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thical Issues of Daesoon Thought - Focused on the idea of ‘Haewon Sangsae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7.06
34P 미리보기
대순사상(大巡思想)의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 ‘해원상생(解冤相生)’의 이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2호 / 355 ~ 388페이지
    · 저자명 : 김의성

    초록

    대순사상에서 ‘해원상생’의 이념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면서윤리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인간은 ‘원(冤)’을 담지하고 있고 이것은 ‘해원’의필요성으로 드러난다. 여기서 ‘원’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욕구로부터 출발하는상태와 감정으로 이해된다. 욕구는 욕구의 해소와 결핍의 두 가지 상태를 수반한다. 욕구가 결핍되었을 때는 원한의 감정을 맺게 되며 ‘원’의 상태가 축적되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대순사상에서 세상의 문제를 진단하는 중요한 관점이다. 그에 따라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의 작업에는 욕구의 해소라는 측면에서 ‘해원’의 원리가 작용하여 해결의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 ‘해원’의 원리 속에서 윤리적 참여는 ‘보은(報恩)’이라는 이념과도 관계되면서 전개된다. 이것은 ‘보은’의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해원’의 내용을 보여준다. 그러나 ‘해원’은 그것으로써 윤리적 가치를 드러내지 않고 그 방향성이 ‘상생(相生)’을 지향할 때 선(善)의 가치를 지닌다. 이와 같은 ‘해원상생’의 윤리적 내용들은 그것이 그대로 ‘훈회(訓誨)’의 윤리 규범 속에서 다양한 측면으로서 표현된다. 대자적(對自的)인 문제로서 마음은 ‘양심(良心)’을 통해서 ‘해원상생’의 윤리적 주체가 되며 “마음을 속이지 말라”는 덕목으로 표현된다. 마음은대타적(對他的)으로 언어와 행동으로 드러나게 되는데 말에 있어서는 “언덕(言 德)을 잘 가지라”는 덕목이, 구체적인 ‘해원상생’의 일반적 행위로서는 “척(慼)을 짓지 말라”는 덕목이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은혜를 저버리지 말라”는 맺은척을 풀라는 것과 같은 의미로, “남을 잘 되게 하라”는 내용은 은혜를 베풀라는의미로서 모두 ‘보은’이 전제된 ‘해원상생’을 실천하는 소극적 행위와 적극적행위로서 의미가 있게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idea of ‘Haewon Sangsaeng(解冤相生: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which is expressed as an ethical principle in Daesoon thought, imparts an important ethical view and is the view toward humans and the world. As the idea regards human beings to bear ‘Won(冤: grievances)’or resentments, it reveals the necessity for all humans to ‘Haewon(解冤: Resolving Grievances)’grievances.
    Here, the ‘Won’are intrinsically understood as the phenomena and emotions coming out from human desires. Desires are accompanied by the two phenomena : the resolution and deficiency of desires. The deficiency of desires results in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bearing and accumulating grudges and resentments. This becomes an important viewpoint for diagnosing the world-wide problems in Daesoon thought.
    According to the diagnosis that the world is full of grievances, ‘Cheonji Gongsa(天地公事: Reordering Work of the Universe)’solves the worldly problem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ewon’to resolve all grievances systematically and individually.
    The ethical practice of the principle of ‘Haewon’involves the practice of the idea of ‘Boeun(報恩: Repaying Favors)’. It shows that the idea of ‘Boeun’implies the idea of Haewon, or Resolving Grievances.
    However, the idea of ‘Haewon’cannot be an ethical value and express the good unless its practice is aimed for ‘Sangsaeng(相生: mutual beneficence)’. The ethical aspects of ‘Haewon Sangsaeng’are presented in various ways of practices in the Precepts of Daesoon Jinrihoe.
    As an issue about the self, the first precept reads “Do not deceive yourself.”Here, human mind becomes the subject that practices ‘Haewon Sangsaeng’by not deceiving one’s mind and preserving his or her conscience.
    The state of human mind is expressed in one’s speech and behavior. As an issue of the others, the second and third of the Precepts states “Practice virtuous speech”and “Do not provoke Cheok(慼: emotions of grudge against others) in others”. The former indicates the virtue of speech and the latter indicates that of behavior. The fourth precept “Do not disregard the beneficence others bestow upon you”has the same meaning as resolve ‘Cheok’you caused to others. The fifth precept “Promote the betterment of others”means to heap favors to others. They both have their meanings in practicing the idea of ‘Haewon Sangsaeng’in passive and active l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