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기 통영 충렬사영구보존회의 결성과 이순신 장군 추모 사업 (Establishment of the Tongyeong(統營) Chungryulsa Permanent Preservation Society(忠烈祠永久保存會) and the General Yi Sun-sin(李舜臣) Memorial Project in Colonial Perio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3.12
37P 미리보기
식민지기 통영 충렬사영구보존회의 결성과 이순신 장군 추모 사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68호 / 301 ~ 337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현

    초록

    본 연구는 통영 충렬사 소장 식민지기 문헌들을 중심으로, 통영 충렬사영구보존회(이하 보존회)의 결성과정과 이순신 장군 추모 사업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보존회의 결성 시점과 내부적 진행 과정에 관해 잘못 알려졌던 사실들을 바로잡을 수 있었고, 보존회가 1920년대부터 추진했던 다양한 이순신 추모 사업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보존회가 신분과 친목에 기반한 전통적인 의례 조직에서 공공의 관심을 대변하는 근대적인 사회단체로 변화해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있었다.
    조선 후기부터 통영의 상급 무임들은 충렬사와 제승당의 유지와 관리를 맡아왔다. 또 이들은 이순신 장군의 기일과 생신을 기념하는 조직을 만들고, 추모 의례도 꾸준히이끌어 왔다. 한말 통제영이 폐지되자, 상급 무임들은 충렬사와 제승당의 운영에서 잠시 배제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지역 현안의 해결에 앞장서고, 추모 의례도 주도하면서역사적 연고권을 지켜갔다. 1911년에는 상급 무임들을 주축으로 기존의 추모 단체들을 규합하여 보존회가 결성되었다. 이후 보존회는 군청으로부터 관리권과 재산권을인계받고, 조직과 운영규칙, 재산규칙 등을 정비하여, 1919년 3월 18일 충렬사의 관리하는 대표 사회단체로 재탄생했다. 이렇듯 보존회의 결성은 상급 무임들의 내부 역량과 적극적 참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또 보존회의 가입은 규정상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었으나, 실제로는 상급 무임 가문 출신이면서 장년층의 지역 유지나 지도층이 다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존회가 중점적으로 진행한 사업은 이순신 장군 추모 사업이었다. 충렬사 및 제승당의 각종 제향과 건물의 유지・관리가 중심이었지만, 근대적인 추모 사업도 다양하게진행되었다. 보존회는 이미 1920년대부터 이순신 장군의 유물을 전시할 진열장을 만들고 관광엽서도 제작하며 충렬사를 알리기 위한 여러 사업을 진행했다. 특히 전시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충렬사를 폐쇄적인 추모 공간에서 공공적이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바꾸려는 근대적 기획의 일환이었다. 또 1930년대 진행한 제승당 중건 사업은 경성의 이충무공유적보존회와 함께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보존회는 제승당을 이순신장군의 대표 고적이자 민족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전국에 알릴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보존회는 지역의 시급한 현안에도 관심을 잃지 않았으며, 문화・교육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후원함으로써 통영의 대표 사회단체로서의 위상을 잃지 않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Tongyeong(統營) Chongryulsa (忠烈祠) Permanent Preservation Socie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rvation Society) and its projects to memorialize General Yi Sun-sin (李舜臣), focusing on the Japanese-era documents held at Tongyeong Chongryulsa.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correct some of the misunderstandings about the formation and internal processes of the Preservation Society, as well as examine the various commemoration projects of General Yi Sun-sin that the Preservation Society promoted from the 1920s onward s. In particular, I was able to see the transformation of the Preservation Society from a traditional ritual organization based on status and friendship to a modern social organization that was open and represented the public interest.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ongyeong's superior mu-yim(武任) have been in charge of maintaining and managing Chungnyeongsa and Jeseungdang(制勝堂), and they have also organized the commemoration of General Yi Sun-sin's anniversary and birthday, and have consistently led memorial rituals. After the abolition of Tongjeyeong(統制營), they were temporarily excluded from the operation of Chungryulsa and Jeseungdang.
    However, they maintained their historical ties by taking the lead in resolving local issues and leading memorial rituals. In 1911, the Preservation Society was formed by uniting the existing memorial organizations under the leadership of superior mu-yim(武任). Afterwards, the Preservation Society took over the management and property rights from Tongyeonggun (統營郡), established the organization, operating rules, and property rules, and was reborn on March 18, 1919, as a representative social organization The formation of this organization was possible due to the internal capacit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uperior mu-yim(武任), and although membership in the organization was open to the general public by regul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majority of the members were from the superior mu-yim(武任) families and the elderly local maintenance and leadership.
    The main project of the preservation society was the memorialization of General Yi Sun-sin. While the centerpiece of the organization's work was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various rituals and buildings at Chungryulsa and Jeseungdang, it also carried out various modern memorial projects. As early as the 1920s, the preservation society built d isplay cases for General Yi's artifacts, prod uced tourist postcard s, and conducted various projects to publicize Chongryulsa. In particular, the display of artifacts was part of a modern plan to transform Chungryulsa from a closed memorial space to a public, open space. In addition, the project to rebuild Jeseungdang in the 1930s was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Lee Chungmugong(忠武公) Ruins Preservation Society in Gyeongseong (京城). This allowed the organization to raise the status of Jeseungdang as a representative historic site of General Yi Sun-sin and a space that symbolizes national spirit. At the same time, the preservation society has not lost interest in pressing local issues and actively sponsors local cultural and educational projects, maintaining its status as a representative social organization in Tongy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