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순원왕후와 안동 김문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 (Re-evalu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Queen Soonwon and the Andong Kim fami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7.09
31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순원왕후와 안동 김문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9호 / 209 ~ 239페이지
    · 저자명 : 박주

    초록

    본고는 순원왕후의 생애와 세 명의 공주 그리고 순원왕후와 안동 김씨 가문과의 관계에 대하여 여성사적 입장에서 재조명한 것이다.
    순조의 비 순원왕후(1789-1857)는 본관이 안동으로 1789년(정조 13) 아버지 영안부원군 김조순과 어머니 청송 심씨의 장녀로 태어나 1800년(정조 24) 왕세자빈으로 간택되었다. 삼간택을 하기 전에 정조가 갑자기 승하하고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 김씨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면서 왕비 책봉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으나 1802년(순조 2) 왕비에 책봉되었다. 순원왕후는 조선에서 유일하게 두 차례(헌종 조와 철종 조)에 걸쳐 수렴청정을 하였다. 왕실의 최고 어른으로 최고의 지위와 영화를 누렸으나 여성으로서의 삶은 매우 불행하였다. 슬하에 1남 3녀의 자녀를 두었으나 이들 모두 자신보다 일찍 세상을 떠나는 비극을 겪었다. 1830년(순조 30)에는 아들 효명세자(뒤에 익종으로 추존)를 잃었고, 1832년(순조 32)에는 둘째 딸 복온공주와 맏딸 명온공주가 불과 한달 사이에 잇달아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2년 후인 1834년에는 남편 순조가 승하하였으며, 1844년(헌종 10)에는 하나 남은 가족인 막내딸 덕온공주마저 세상을 떠났다. 1849년(헌종 15)에는 유일한 손자 헌종도 후사없이 승하하였다.
    한편 순원왕후는 평소 책을 읽거나 글씨 쓰는 것을 좋아하여 많은 한글 편지를 남겼다. 순원왕후의 한글편지는 그녀의 개인적인 삶과 친정 안동 김씨 외척과의 관계, 당시의 다양한 정치적 문제 등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집안에 혼인, 회갑, 과거급제 등의 경사가 있거나 유배, 죽음, 병고 등의 흉사가 있을 때 가족들에게 편지로 축하하거나 위로하였다. 또한 순원왕후는 수렴청정을 하면서 왕실 의례를 비롯한 다양한 정치적 사건 등에 대해 친형제 유근(逌根), 원근(元根), 좌근(左根)이나 재종형제 홍근(弘根), 응근(應根), 흥근(興根) 등과 의논하여 결정하는 일이 많았다. 이들 형제는 조정의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며 권력의 중심인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수렴청정을 하는 순원왕후가 의지할 수 있는 가장 든든한 세력은 역시 자신의 친정 형제와 재종형제였던 것이다. 특히 순원왕후는 헌종 조 수렴청정할 때에는 친오라버니 유근, 재종오라버니 홍근(弘根) 등에게 의지하였고, 철종 조 수렴청정할 때에는 친동생 좌근, 재종동생 흥근(興根) 등에게 많이 의지하였다. 따라서 순원왕후는 수렴청정을 하는 동안 친정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안동 김씨의 세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examines the life of Queen Soonwon and the relation between Queen Soonwon and the Andong Kim family The Queen Soonwon was the wife of King Soonjo(純祖) and was family of Andong Kim. She was born in 1789 (13th year of King Jeongjo). Her father was Kim Josoon(金祖淳) and her mother was Chongsong Shim. She was chosen the wife of Crown Prince in 1800 (24th year of King Jeongjo) and she became the Queen in 1802 (2nd year of King Soonjo). The Queen Soonwon was the only one who performed Sooryemcheongjeong(垂簾聽政) twice in Choseon Dynasty during King Heonjong(憲宗) and King Cheoljong(哲宗). Although the highest person of the royal family, her life as a woman was very unhappy. She had children of a son and three daughters, but all of them died under age of thirty.
    Queen Soonwon liked to read a lot of books and write, so she left many Hangul letters. In particular, she wrote to her family members when they encountered a special occasion such as marriage, the 60th birthday, pass an examination, exile, death and illness.
    Queen Soonwon, who reigned as regent for ten years, frequently consulted with her brother(Yoo Geun, Won Geun and Joa Geun) and her relatives (Hong Geun, Eung Geun, Heung Geun) about the royal ceremony and various political issues. These brothers were becoming the dominant figures of power, as they hold the key post in government.
    When Queen Soonwon acted as regent, she relied on Yoo Geun(逌根) and Hong Keun(弘根) in King Heonjong period and Joa Geun(左根) and Heung Keun(興根) in King Chuljong period respectively.
    In short, the Queen Soonwon contributed greatly to the strengthening political power of Andong Kim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