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昌協의 <<五子粹言>>으로 보는 隋儒 王通 (Sui Confucian scholar Wang Tong[王通] in view of Korean Neo-Coufucian scholar Kim Changhyeob[金昌協]’s Ojasueon[五子粹言])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12
39P 미리보기
金昌協의 &lt;&lt;五子粹言&gt;&gt;으로 보는 隋儒 王通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7호 / 33 ~ 71페이지
    · 저자명 : 노관범

    초록

    본 글은 김창협이 편찬한 『오자수언』을 통해 김창협의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五子粹言>>은 순경, 동중서, 양웅, 왕통, 한유 등 다섯 유학자의 순수한 언설을 선별한 문장 선집이다. 이들은 선진 공맹 유학 이후 송대 신유학 이전 시기의 중국 유학사 계보에서 거론되는 인물들이다. 공맹 유학과 송대 신유학 사이의 중국 유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김창협이 추구했던 포괄적인 주자학, 곧 결과로서의 주희 텍스트가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주희 텍스트를 체득하고자 했던 학문 태도와 관련이 있다. 이 중에서 수나라 유학자 왕통은 양한을 역사 모델로 하는 왕도정치를 추구했고 이로 인해 ‘양한이 삼대가 되기 부족한 줄 알지 못했다’는 주희의 비평을 들었던 인물이다. 김창협의 <<五子粹言>>으로 재현되는 왕통은 원칙적으로 주희의 관점에 따라 정화된 왕통이었으나 양한에 대한 왕통의 역사적 존중은 부분적으로 보존되었다. 주자학자 김창협의 왕통 선집 작업은 조선후기 낙학의 이채로운 학문적 조류의 하나였다.

    영어초록

    Kim Changhyeob is the problematic figure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Korea. He was a Zhuzi scholar in the Yulgok[栗谷] school and now is regarded as the founding figure of Seoul School namely Nakhak[洛學] in the process of the great divergence of Yulgok school. Nakhak is renowned for its being the philosophical root of the idea of Bukhak[北學], for scholars in Nakhak school had tendency to be liberal and eclectic in their Neo-Confuciansim. It may be possible that the Zhuzi learning in this school could be thought to be changed to the Silhak[實學] in the late Joseon Korea. Nevertheless, Nakhak was within the tradition of Korean Zhuzi learning and Kim Changhyeob in this school was a Zhuzi scholar in search of the extensive understanding of the Zhuzi text.
    This article tries to approach the actual learning of Kim Changhyeob, reviewing his compilation titled Ojasueon[五子粹言] which was the anthology of five Chinese Confucian scholars, for example, Sunzi[苟子], Dong Zhongshu[董仲舒], Yang Xiong[揚雄], Wang Tong[王通], and Han Yu[韓愈]. They were main Confucian scholars before the emergency of Chinese Neo-Confuciansim in the Song dynasty, and his much interest in them means he had tendency toward extensive Zhuzi learning for Chinese Confucian tradition. Sui Confucian scholar Wang Tong among the above five was noted for his political belief in Wangdao[王道] politics with Han dynasty as its actual model, being criticized by Chuzi that historical model of Han dynasty was inferior to that of classical periods named Sandai[三代]. In Ojasueon, Kim Changhyeob defined Wang Tong as a Confucian scholar in the criterion of the Zhuzi learning, still keeping his belief in the Han dynasty as the ideal model for Wangdao politics in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