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초 對日賓禮의 정비와 ‘受隣國書幣儀’ (The Establishment of the Rites of a Courtesy Call from Japan in early Chosun Dynasty and ‘Suringukseopyeui’)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09
35P 미리보기
조선초 對日賓禮의 정비와 ‘受隣國書幣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0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윤승희

    초록

    본고는 儀禮라는 틀을 통해 조선초 對日認識의 변화를 살피고, 그에 따른 對日賓禮의 정비과정 및 의미를 ‘受隣國書幣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조선 건국초 대일빈례는 고려말부터 계속된 왜구문제와 관련하여 모색되었고, 또 나름의 외교의례를 갖추기엔 아직 조선 내의 여건이 마련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일본국왕사는 예우의 대상이 아니었다. 일본국왕사를 다소 낮게 평가했던 건국초의 분위기는 세종대에 들어와 이들의 위차가 이전의 4~5품에서 3품으로 격상되며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1425년(세종 7)에는 처음으로 일본국왕사가 등장하는 의례절차를 구체화한 ‘倭使肅拜節次’가 상정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그 의식구조는 일상적인 조회의식과 다를 바 없이 오로지 세종에 대한 일본국왕사의 숙배만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가례의식의 정비와 더불어 세종대 후반 더욱 두드러져, 1448년(세종 30) 상정된 ‘日本國使肅拜儀’의 집사관 및 자리설정은 군신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가례의식의 구조와 동일한 모습을 보였다. 세종대에 보인 대일 의례수준은 ‘수린국서폐의’라는 의주명으로 『세종실록』 「오례」와 『국조오례의』의 빈례항목에 편제되어 공식화되었다. ‘수린국서폐의’의 빈례 편제는 『大唐開元禮』 빈례의 ‘受蕃國使表及幣’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조선이 적어도 철저히 조선의 입장에서, 조선을 나름의 중심으로 설정한 외교질서를 지향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선의 목표는, 『국조오례의』가 그 준비부터 참여자의 입․퇴장 그리고 사배-행례-사배라는 원칙까지 철저히 조하의식의 절차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수정된 것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빈례의식에 끼친 가례의 영향은 그 의식구조가 동일하다는 전제 아래 그 설명 일부를 생략한 모습에서도 찾을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일본국왕사의 위차이다. ‘수린국서폐의’에서 이를 생략한 것은 그 의식구조가 조하의식과 동일함을 전제로 했기 때문이다. 『세종실록』 「오례」 이후 종2품으로 격상된 이들의 위차 변화 이유 또한 조하의식의 정비과정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조선은, 중국왕조가 3품 이상 관원의 이동 및 자리를 구분하는 의식절차 내에서 국외사신이 그 구분선의 끝인 3품에 자리한 것과 유사하게, 2품 이상의 관원을 구분하는 조선 나름의 조하의주 정비 이후 그 속에서 일본국왕사의 위상을 고려한 것이다. 즉, ‘수린국서폐의’의 제정은 조선국왕과 그 신하들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의식구조를 통해 조선이 나름의 중심으로 상정된 외교질서를 추구하였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Japan in early Chosun dynas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ites and the consequential establishment of the Rites of a Courtesy Call(賓禮) from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Suringukseopyeui’(‘受隣國書幣儀’). At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Chosun sought the rites for Japanese envoy in regard to invasion by Japanese pirates that had lasted since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was not ready yet how the own diplomatic courtesy should be enforced. So that Japanese envoy could not be honored. However Japanese envoy had been located on 3th officers position from the early Sejong period, which was quiet a upgraded treatment compared to earlier one. ‘A Procedur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倭使肅拜節次’) established in 1425 was made concrete a procedure of rites that Japanese envoy appears. But this procedure was pretty similar to the Court Rites’(朝會) one that all the Chosun’s officers bow to a king at the same time and it means that ‘A Procedur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s’ was actually not a special treatment. This feature would be more stood out alongside the establishment of Congratulatory Rites(嘉禮) in the late of Sejong period. ‘A Rite to Bow of the Japanese Envoys’(‘日本國使肅拜儀’) established in 1448 have the same structure from executives and participant’s locations as compared with Congratulatory Rites which is based on the sovereign and subject relationship. The rites establishment for Sejong period was formulated by including ‘Suringukseopyeui’ in Sejong Annals’(『世宗實錄』) Orye(「五禮」) and Gukjooryeui(『國朝五禮儀』). ‘Suringukseopyeui’ has accepted ‘Subunguksapyogeuppye’(‘受蕃國使表及幣’)’ in Daedangkaewonrye (『大唐開元禮』). It means that Chosun was aiming to Chosun-centric diplomatic order. This aim is to show the reason why ‘Suringukseopyeui’ in Gukjooryeui was modified in a way that shares the procedure of Court Rites. Therefore a descriptive part of the Rites of a Courtesy Call has been omitted like a Japanese envoy’s location, so that it should look at the Court Rites. Also its location was upgraded to 2th after Sejong Annals’ Orye was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Court Rites. China dynasty has been separated more than 3th or less in the procedure of Court Rites, and Foreign envoy was located on 3th which is end of the boundary. Similarly, Chosun also considered the status of Japanese envoys in response to Chosun’ own Court Rites separating more than 2th or less. And to conclude, the establishment of ‘Suringukseopyeui’ shows that Chosun was seeking Chosun-centric diplomatic order through the rites procedure to enforce the king of Chosun and his su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