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화 전등사 木造地藏菩薩坐像과 조각승 守衍 (Ganghwa Jeondeungsa Wood seated Ksitigarbha and monk sculptor Suye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3.02
38P 미리보기
강화 전등사 木造地藏菩薩坐像과 조각승 守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18호 / 207 ~ 244페이지
    · 저자명 : 최선일

    초록

    본 논문은 강화군 전등사 명부전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수연(守衍)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2010년 10월에 사찰의 의뢰를 받아 명부전 내 봉안된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의 복장 조사를 계기를 통하여 조성발원문을 비롯한 복장물이 조사되었다. 조성발원문에는 제작시기와 조각승 등이 적혀 있어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은 1636년 수연(守衍)과 탄오(坦悟)가 증명(證明)을 맡고, 수연과 영철 등이 제작하였다. 이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수연은 1619년에 서천 봉서사 불상을 수화승으로 제작하면서 증명의 소임을 맡았다. 따라서 1610년대 후반에 수연은 상당한 지위와 학식을 겸비한 스님으로 보인다. 그는 1623년에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좌상을, 1625년에 나주 쌍계사 목조삼존불좌상과 소조나한상(나주 다보사 봉안)을, 1634년에 옥구 보천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익산 숭림사 명부전 봉안)을, 1636년에 전등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을, 1639년에 남원 풍국사 목조삼세불좌상(예산 수덕사 대웅전 봉안)을 조성하여 이제까지 밝혀진 활동 시기가 1615년부터 1639년까지이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107센티미터 되는 중형보살상으로, 민머리의 성문비구형(聲聞比丘形)이다. 지장보살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수인은 조선후기 제작된 석가불(釋迦佛)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래와 보살 등이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다.
    보살은 각이 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 원통형의 코, 미소를 머금은 입을 가지고 있다. 착의법은 두꺼운 대의 안쪽에 편삼(扁衫)을 입고, 대의자락의 한 가닥을 들어 올린 손목 뒤에 비스듬히 걸치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며,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 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옷자락이 완만하게 흘러 내려 표현된 것은 17세기 전반부터 나타나는 대의처리이다. 대의 안쪽에 가슴을 가린 승각기(僧脚崎)는 수평으로 묶어 상단에 연판형의 주름이 접혀있다.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좌상는 1634년에 제작된 익산 숭림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인상이나 착의법이 거의 유사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수연과 그 계보는 태전(~1600경~1615~)→수연(~1615~1639~)→성옥(~1619~1625~), 운혜(~1649~1680~), 경림(~1665~1680~) 등으로 이어진다. 또한 수연과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불상을 만든 지역은 강화 전등사, 배천 강서사, 서천 봉서사, 김제 금산사, 옥구 보천사, 남원 풍국사, 나주 쌍계사, 해남 서동사, 장성 백양사 약사암, 곡성 도림사, 화순 쌍봉사, 순천 동화사, 고흥 능가사로 서해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곳이라 이들이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수연과 그 계보 조각승이 제작한 불상 양식을 바탕으로 전국 사찰 전각에 봉안된 무기년명(無紀年銘) 불상 가운데 전남 강진 백련사과 해남 미황사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상은 1660년대 초반 조각승 운혜가 제작한 작품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for a monk sculptor, Suyeon. Recently, the votive inscrips for the Jeondeungsa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were found. This votive inscription for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provides critical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late 17th Joseon dynasty s Buddhist sculpture s stylistic transition.
    This votive inscription shows that Suyeon has two different jobs for this project in 1636. The first one is Jeungmyeong. A person, who usually takes this position, is required to understand detailed Buddhist ritual processes, so this person watched whether or not sculptors carve a properform of Buddhist sculptures. The second position is a leader of monk sculptors for Jeondeungsa Myeongbujeon sculpture. He seems to be a renaissance monk who is a seasoned theoretician as well as a competent sculptor.
    As a leader of monk sculptor school, Suyeon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In 1623, Suyeon and his disciples made three Buddhas in Jeondeungsa main hall, and in 1625, Suyeon s group took a charge for Naju Ssanggyesa Sakyamuni triad and 16 Buddha s disciples. In 1634, Suyeon and other sculptors created wood seated ksitigarbha and the Ten King in Okgu Bocheonsa and rendered Namwon Bungguksa s wood seated Buddhas triad in 1639.
    Jeondeungsa wood seated ksitigarbha is mid size image, whose height is 107cm. Its upper body is slightly bended, andtwo hands are separately carved. The hand position for this sculpture is that its two thumbs and middle fingers are attached. This hand form is the most comm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 Buddhist sculptures. This ksitigarbha have a squared face, slightly open eyes, cylinder shape nose, and compressed mouth. The garment drapery patterns for this sculpture are displayed by several lines.
    For this paper, I can present Suyeon monk sculpture school s pedigree: Taejeon(actively engaged in 1600-1615), Suyeon(-1615-1639-), Seongok(-1619-1625-), Unhye(-1649-1680-), Gyeongim(-1665-1680-). In addition, most of temples, enshrining Suyeon School s Buddhist sculpture, are located in coast line of west see. As a result, Suyeon School seemsto cultivate this area for their sculpture projects. Base on stylistic features of Suyeon s School, we can assume other Suyeon School s works in different region. Two of examples are in Ganjin Baeglyeonsa, and Haenam Mihwangsa s ksitigarbha. Both of wood Ksitigarbha artists seem to be Unh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전